오디오 칼럼

현대 방언은 성경적인가? (오디오 지원)

Sola. 2023. 9. 15. 06:00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_B4grVZdwNw&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17

 

현대 방언은 성경적인가? (I)

 

김명도 교수 / 튤립 선교회

 

 

고린도전서 12장에 나오는 9가지 은사 중에서 고린도 교회 성도들 중 방언하는 은사를 받은 사람들은 이 은사로 인하여 교만했다. 그래서 바울은 고린도전서 12장을 쓰다가 말고 13장에서 어떤 은사를 받건 그것으로 자만하거나 교만해서는 안 되며 사랑으로 교회 덕을 세우기 위해 그 은사를 사용해야 한다고 하면서 사랑에 대하여 교훈한 후에 다시 방언에 대하여 깊이 설명하는데, 고린도전서 14장이 바로 그 방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내용이다.

 

요즘 방언 때문에 가정이 파괴되고 교회 성도 간에 불화가 생기는 것이 사실이고 보면 방언 문제는 우리가 다루어야 할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임에 틀림없다. 어떤 이들은 방언을 하지 못하면 구원을 얻지 못한 사람으로 취급하고 혹은 방언을 못하면 덜 신령한 사람으로 3등 크리스챤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적지 않아서, 사람들은 고린도교회에 주어졌던 방언을 인위적으로 배워서 교회 집회 때 방언함으로 말미암아 신령한 “일등 크리스챤” 층에 들려고 애쓰는 모습을 본다. 어디를 가나 사람들은 방언하는 것을 큰 자랑으로 알고 있고 방언을 못하는 사람은 주눅이 들어 방언하는 사람을 부러워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과연 방언을 못하면 구원을 얻지 못한 사람인가? 방언은 배워서라도 곧 습득하여야 “일등 크리스챤”이 되는 것인가? 이것은 아주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런 현상이 진리라면 우리는 어떠한 방법으로라도 방언을 배워야 할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이런 현상이 진리가 아니라면 단연 이런 사이비 운동과 맞서 싸워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막아야 할 것이다. 현대의 방언은 성경적인가? 아니면, 오늘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방언을 하는데 이를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분명 오늘의 방언의 성격을 잘 살펴서 진리를 알 필요가 있다.

 

 

I. 방언의 의미

 

방언은 헬라어 원어로 “glossolalia”인데 이는 두 단어가 합해서 구성된 복합명사 인데 “glossa”란 “혀, 언어” 등의 의미이고, “lalia”란 “말한다”이란 의미이다. 그러므로 “말, 즉 언어로 말한다”라는 의미이다. 언어학 (linguistics)에서 glossology라고 하면, 이는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언어의 분석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glossa”라는 말은 신약성경에 50번 이상 나온다. 야고보 3:5에서는 사람의 몸의 일부인 혀에 쓰이고, 사도행전 2:3 에서는 불의 혀에서 “혀”라는 말로 사용되고, 그 외에는 모두 “말” 이란 의미로 사용된다. 사도행전 2:4에서 “다른 방언으로 말했다”고 했는데, “다른 방언”이란 그들이 일상 사용하는 말이 아닌 다른 언어를 말한다(뜻을 모르는 말이 아니라, 뜻을 아는 말 즉 known language이다). 독일어가 존재하는 것을 누가 부인하겠는가? 그러나 우리는 독일어를 일상생활에서 쓰지 않으며 또한 그 말에 익숙해 있지 않다. 우리가 어느 곳에 가서 갑자기 독일어로 말한다면, 이야말로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마가의 다락방에 모였던 사람들은 각자가 자기가 배우지 아니한 다른 나라말로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이해하고 들었다는 말이며, 전혀 아무도 모르는(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말을 들었다는 뜻이 아니다.(Sola 주: 사도들이 다른 나라 언어로 계시의 말을 전했고, 다른 나라 사람들이 그들의 언어였으므로 이해하고 들었다는 뜻)] 계시록에서 다음 성경구절을 보라 : 계5:9; 7:9; 10:11; 11:9; 13:7; 14:6; 17:15 등 구절을 보라. 이 모든 성경구절에는 “방언”이라는 말이 등장하는데, 여기에 나오는 방언은 아무도 모르는 오늘날의 방언이 아니고 세상 나라 사람이 지구상 어느 곳에서인가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한다.

 

 

II. 방언의 현 좌표

 

오늘 교계에서는 방언은 어느 한 교단에서만 유행하는 현상이 아니고, 전 세계 어느 곳이나 교회가 있는 곳에는 이런 방언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옛날 고린도교회에서 방언 문제가 복잡해서 바울이 고린도전서 14장에서 전적으로 방언을 다루어야 할 만큼 심각한 문제가 되었던 것처럼, 오늘날에도 방언으로 인하여 성도간에 분열(分裂)이 생기고 교회 성도들 간에도 온갖 문제를 유발하는 현상이 눈앞에 벌어지고 있다. 1970년대만 해도 그런 일은 상상도 못했던 미국 정통장로교단(OPC)도 요즘에 와서는 방언하는 목사를 파면하는 등 수난기를 당하고 있고, 한국 교단은 예외 없이 어느 교단이고 대부분 좀 신앙이 좋다고 하는 사람이면 모두 방언을 말한다. 한국의 교인들은 크게 자유파와 보수파로 분류되는데, 자유파는 성경을 인간의 생각으로 판단하여 이성과 경험에 비추어서 믿을 것은 믿고 믿기 어려운 부분을 불신 하지만 문제는 소위 “보수파”라는 교회들에 있다. 한국 사람으로 “보수파”에 속하는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면, “신령한 체험을 하고, 병 고치는 은사를 받고, 방언을 하는 성도라야 보수파 신자”라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모두 자유주의 신학을 따르는 자로 매도한다. 다시 말하면, 병을 고치지 못하고, 방언을 못하고, 환상이나 계시를 못 보면 그는 자유주의 신자라는 것이고 반면에 이런 일들을 하면 그는 보수파라는 잘못된 생각이다. 한국이나 미국이나 남미, 특히 미국 Arizona 주 Phoenix 근처에 있는 New Age본부가 있는 Sedona라는 곳에 모인 사람들은 모두 이른바 “영적 체험”을 하고 “방언”을 말하며, 심지어 “영겁전(永劫前)에 살다가 죽은 사람과 영적으로 교통한다”고 한다.

(Edmond Gruss. Ouija Board: Doorway to Satan. (P&R) 참고).

 

방언 문제는 아주 심각하여 비단 교회만이 아니라, 신학생들에게도 상당히 파고 들어가게 되어 드디어 Westminster 신학교 교수 Richard Gaffin, Jr. 박사는 일 년간 특별 휴가를 받아서 방언을 연구하도록 학교 당국에서 배려했는데, 그 연구결과가 바로 그가 쓴 “The Perspectives on Pentecost”(은사론)이라는 책이다. 이 책은 O Palmer Robertson 교수의 The Final Word라는 책과 함께 쌍벽을 이루는데, 방언 연구에서 으뜸가는 성경적 평가서라고 인정받고 있다. 이 일은 미국 정통장로교단(OPC)에서 방언하는 목사를 목사직에서 파면한 직후에 이루어졌으며, 1974년도부터는 그 교단 헌법을 수정하여 “Any minister who speaks in tongues shall be divested”(방언하는 목사는 직위에서 해제한다)라고 못 박고 있는데, 지금은 그 교단 안에 방언 문제만 아니라 복음성가 문제, 아동 성찬식 참여 여부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 방언과 복음성가는 세계 모든 교단에 파급되어 있어서 이미 걷잡을 수 없게 사태가 악화되어 버렸다. 얼마 전 Scotland의 1636년 언약파(National Covenanters)들의 후손인 Associate Reformed Presbyterian Church(ARPC)는 복음성가 문제로 파가 갈라져서 NAPARC(North American Presbyterian and Reformed Council), 현재 미국에서 가장 보수적인 7개 교단이 가입되어 있다고는 하나, 1976년 당초의 설립 목적과는 달리 회원 교단 중 Reformed Church in the United States(RCUS)와 Reformed Presbyterian Church of North America(RPCNA) 등 두 교단을 제외한 다른 교단들은 저마다 문제를 안고 있다.

 

한국인들이 모이는 교회에서는 방언을 못하면 자유주의자로 오인되고 방언을 하면 신령한 보수주의자로 환영을 받는 것이 불문율(不文律)처럼 되어 버렸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가? 놀라운 것은 이런 현상은 날이 갈수록 더욱 심해진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앞서 언급한대로 혹자는 산에 있는 “신령한” 기도원에 가서 방언을 배우기도 한다. 성경 어디에 방언을 배워서 하라고 가르치는가? 미 육군 군목출신의 Martin R. Carothers라는 분이 쓴 Prison to Praise라는 책(pp.33-37)에서 그가 방언을 배우는 내용이 나온다. 이는 분명히 잘못되었다. 방언을 배워서 한다는 것은 비성경적이기 때문이다.

 

 

III. 방언의 성격

 

고린도교회에 방언이 있었던 것은 부인하지 못하다. 문제는 고린도에 있었던 방언이 오늘날 우리 주변에서 보는 방언 현상과 같은 성격인가 여부에 달려 있다. 고린도교회의 방언은 분명히 성서적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하나님의 특별계시인 성경이 완성되기 전에는 여러 가지 환상, 계시, 방언, 꿈 등을 통해서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을 주셔서 그것들을 성경에 기록되도록 하셨고, 그런 방법으로 성경을 완성하도록 역사하셨다(히 1: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1:1-10 참고). 다시 말하면 방언은 성경이 아직 완성 되기 전에 하나님이 그의 계시를 주시는 방법중 한 가지였다.

 

옛날 장님 여섯 명이 코끼리를 설명하는 일을 맡았다. 코끼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설명하라는 것이었다. 앞을 못 보는 장님들은 각자 나름대로 코끼리를 손으로 만져 보면서 설명할 수 밖에 달리 도리가 없었다. 첫 번째 장님은 코끼리는 벽처럼 편편하다고 말했다. 둘 째 장님은 창과 같다고 했고, 셋째 장님은 뱀과 같다고 했고, 넷째는 나무 같다고, 다섯째는 부채 같다고, 그리고 여섯째 장님은 밧줄 같다고 했다. 여섯 장님들은 촉각을 통해서 모두 자기 나름대로 깊이 연구한 끝에 각자가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니 저마다 자기 의견이 옳다고 갑론을박하며 싸우는 것이었다. 종일 토론해도 어느 장님도 코끼리를 알지 못했으니 장님 여섯 명은 모두 맞고 동시에 모두 틀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오늘날 카리스마 운동에서 열심히 활동하는 분들은 예외 없이 자신의 체험에 그들의 의견의 근거를 둔다. 모두 “내가 경험했으니 이것은 진리이다”라는 논리이다. 체험을 통해서 무엇을 증명하려는 것은 위험천만이다. 사람의 체험은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A라는 사람이 체험한 것을 B라는 사람이 반드시 체험한다는 보장은 없다. 코끼리를 알려면 코끼리를 설명한 책을 보아야 한다. 손으로 만져서 어찌 코끼리를 알았다고 할 수 있는가? 직접 코끼리를 보는 것이 더욱 좋겠지만 오늘의 은사파의 생각이 마치 이런 코끼리와 장님과의 이야기와 같은 것이다. 방언하는 사람은 모두 체험을 내세우지만 체험은 위험하며 체험은 진리를 판가름 할 잣대가 되지 못한다. 신앙이란 체험으로 믿는 것이 아니고 성경 속에서 말씀하시는 하나님을 믿는 것이다. 사람마다 체험을 내세우면 어느 것이 하나님의 뜻인지 분간할 방법이 없다. 사탄이 좋아하는 말씀의 혼란이 올 뿐이다. 사탄의 작전은 성도들에게서 성경을 빼앗아 가거나 아니면 성경말씀의 진리를 혼란하게 하여 어느 것이 진리인지 분간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IV. 성경에 나오는 방언의 성격

 

성경에 나오는 방언의 성격을 보자

첫째, 사도행전 2장에 나오는 방언을 보자. 예수님이 승천하신 후 몇 날이 안 되어 그의 성령을 보내시어 복음을 전하게 하실 때, 하나님은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기록하게 하였고, 또 그 말씀을 전파할 때도 여러 가지 수단을 사용하셨는데, 주로 이적, 기사, 환상, 방언 등이었다. 사도행전 2장의 이야기는 당시 여기저기 16개 지방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였으나 모두 각각 자기 나라의 말로 들었다고 했다(행 2:8). 어떻게 그랬을까?

여기에 모인 사람들은 2:9 이하에 기록 된 대로 그야말로 전 유럽에서 모여들었는데, 이들에게도 복음이 전파되어야 하겠기에 서로 각자의 방언,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이 세상의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말이 아니라 각자가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알아듣게 역사 한 것이다. 그리스도의 복음 전파가 목적이었다.

 

또 한 가지 사도행전 2장의 방언의 의의는 이제는 모든 사람에게 성령을 부어주어서 전도하게 하신 것이다. 구약에서는 모세가 70인을 택해서 저들에게 하나님이 사역할 영을 부어주어 활동하게 하였지만(민 11:16-17), 이제 신약 교회가 시작되는 오순절에는 70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성령을 부어서 전도하게 하신 의의가 있다. 전도는 목사만의 사역이 아니라 모든 성도의 사역이다. 분명히 알 것은 방언은 아무도 모르는 언어의 문법이 없는 이상한 소리가 아니라 세상에 존재하는 언어로 내가 아직 배우지 않고 사용하지 않은 언어라는 것이다. 이것은 오늘의 교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상한 소리와는 아주 다른 성격이다. 방언의 성격을 바로 알자.

 

이제 고린도전서 12장과 14장에 나오는 방언을 보자.

사도행전 2장에서 고린도전서 12장에 이르는 어간에 가끔 방언이라는 말이 나온다. 그러나 방언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고린도전서 12장과 14장이다. 특히 14장은 “방언장”이라고 할 만큼 방언을 자세히 다룬다. 우선 알아야 할 것은 사도행전 2장에서 보았듯이 신약성경에 나오는 모든 방언은 신약성경이 완성되기 전에 하나님이 그의 계시의 말씀을 나타내 주시기 위하여 쓰신 방편이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신약성경의 방언은 의미를 모르는 방언이 아니고 통역하는 사람이 있어서(항상 같은 한 사람) 그를 통해서 의미를 알 수 있는 방언이었으며 방언이라는 수단을 통해서 하나님은 말씀을 계속 주셨던 것이다.

 

그렇다면 하나님은 오늘날에는 그런 계시를 주시지 않으시는가? 실제로 계시를 보았다고 간증하는 사람들이 우리들 주변에 얼마든지 있지 않은가? 여기서 알 것은 고린도 교회의 방언은 성경이 아직 완성되기 전, 성경이 아직 계속해서 기록되어가는 과정에서 하나님이 특별 계시 전달의 수단으로 주신 것이며 오늘날의 방언은 하나님이 계시의 수단으로 주시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미 하나님은 하실 말씀을 모두 하셨으므로 새로운 계시가 필요 없기 때문에 그런 옛날의 방언, 계시 환상, 꿈같은 방법이 필요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히브리서 기자는 1:1에 말하기를 “옛날 옛적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시하시던 말씀이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완성되었다”고 못 박고 있는 것이다. 예수에게서 모든 하나님의 말씀이 완성되었다는 것이다. 신구약 성경 66권은 완성되었다. 하나님께서 자신을 나타내시는 모든 말씀이 이제 끝났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그런 하나님의 계시를 전하던 수단인 방언, 환상, 꿈 등이 이제는 필요 없으며 끝났다는 뜻이다.

 

개혁주의자는 “계시의 종결”을 믿는다. “Canon is closed for good”(정경은 영원히 끝났다). 성경을 바로 믿는 사람, 바른 신앙을 가진 사람은 성경의 완성을 믿으며 따라서 필연적으로 “계시의 종결”(啓示의 終結)을 믿는다. 성경이 완성되었다는 말은 성경의 마지막 책인 계시록 마지막 22장 18-19절에 분명히 가르쳐 주는데, “이 예언의 말씀에 더 보태지도 말고 제하지도 말라”는 말씀과 함께 또한 히브리서 1:1-2에서 잘 나타난다. 성경에 더 보태면, 즉 성경 이외에 다른 계시를 더하면 성경에 기록된 모든 재앙을 더할 것이고, 만일 반대로 삭제하면 하늘나라에서 생명나무에 참여함을 제하여 버리겠다고 하시는 것이다.

 

한 마디로 말하면, 성경은 끝났으니 가감할 수 없으며 이 66권만 성경이라는 것이다. 방언을 받으면 그것은 하나님의 계시를 받는 것이니(그럴 일은 없지만 만약 그런 계시가 하나님에게서 온다고 가정한다면) 이는 계시록 22:19의 위반이 되는 것이다. 그러기에 개인이 말하는 방언은 위험하다는 것이다. 방언은 개인용이 아니라 항상 교회의 덕을 세우는 일, 즉 교우들 모두를 신앙으로 인도 할 하나님의 목적이 있던 것이며 개인의 용도가 아니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개인 방언이 얼마나 성경에서 먼 방언인가를 알자. 성경이 완성되기 전에는 하나님이 자기 뜻을 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언, 꿈, 환상 등을 동원하여 사용했으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마지막 로고스>로 오신 다음엔 하나님의 말씀이 완성되었으니, 즉 성경이 완성되었으며, 하나님은 그런 방법으로 더 이상 역사하지 않으시고 “기록된 말씀 Written Word"를 통해서만 역사하신다. 그래서 종교개혁가들은 <Sola Scriptura>라고 외쳤던 것이다.

 

하나님은 두 가지 계시를 주셨는데, 하나는 “일반계시” 혹은 “자연계시”이고, 다른 하나는 “특별계시”이다. 자연계시(Natural Revelation)를 통해서는 하나님이 계신 것은 알 수 있지만, 그 하나님이 어떤 분이고, 인간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인간의 적나라한 모습은 어떤지, 인간의 구원은 어떻게 얻는 것이지 등은 자연계시를 통해서 해답을 얻을 수 없고 오로지 특별계시인 성경말씀만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래서 하나님은 하나님의 말씀, 즉 성경을 주신 것이다.

 

오늘날의 방언의 특징은 무엇인가?

저들의 말을 빌리면 방언을 통해서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계시를 받는 것이다. 하나님이 지금도 계속해서 계시를 주신다면, 그것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것일 터이니 그 계시의 말씀과 지금 받은 계시를 합하여 해석한다면, 사람마다 받는 계시가 다르니 어느 말을 따라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생긴다. 혼동이 온다는 말이다. 혹자는 묻기를, “방언하는 것이 어떻게

성경에 보태는 것이 되는가?”라고 항의한다. 우리는 하나님이 주신 완성된 말씀(성경)만 인정하는데, 앞서 언급한대로 오늘날의 방언이 하나님으로부터 온다면 분명히 하나님의 뜻일 터이니 하나님이 자기의 성경 이외에 보여 준다는 것은 성경 자체의 증언에 어긋난다는 말이다. 성경자체가 성경은 완성되었다고 증거하지 않는가?(계 22:18-19)

(생략)

 

방언은 개인의 자랑거리가 결코 아니었고 하나님의 계시를 받는 도구였는데(계시가 아직도 완성되기 전이므로), 오늘날의 방언과는 거리가 멀다. 계시가 완성된 오늘날의 방언은 하나님이 이용하시는 계시의 수단이 아니다. 계시할 것이 없는데 무슨 이유로 방언을 수단으로 등장하여 사용하겠는가? 그러므로 방언이 하나님의 계시라고 말하는 것은 성경의 종결성을 믿지 않는 소치이다. 성경이 완성된 것을 믿지 않는 소치이다. 성경은 완성되었다. 더 이상 하나님은 계시하실 것이 없으시고 이미 계시하신 말씀, 즉 성경만 가지고 역사하신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고린도전서 13:8에 보면, “방언도 그친다”란 말이 있다. 좀 더 정확히 인용하면, “예언도 폐하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폐하리라”라고 했는데, 원어인 헬라어 성경에서 보면 방언이 예언과 지식이 폐하기 전에 “스스로 없어질 것”이 명백하게 나타난다. “방언도 그치고” 의 “그친다”라는 말은 원어에서 “파운손타이”(pausontai)인데 이는 문법적으로 “pauw”의 중간태(middle voice)이므로 문법적으로 보면, “방언은 스스로 없어지게 될 것이다”란 의미가 분명하다. 그 문장의 ”pausontai”는 문법적으로 “indicative mood, middle voice, future tense, 3rd person plural”( 직설법 중간태 삼인칭 복수 미래)이니 방언이 저절로 없어진다는 말이다.

 

한편 “예언도 폐하고 지식도 폐하리라”라고 한 대목은 원어에서 “katargeitheisetai”인데 이는 “katargew” 동사의 직설법 삼인칭 단수 미래 수동태이므로 “예언과 지식이 하나님에 의하여 폐함을 당하여 더 이상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라는 의미인 것이 분명하다. 그러기에 그 다음 구절 고전 13:9에 보면, “지식과 예언”은 나오지만 “방언”은 언급이 없는 것을 보아서 방언은 예언과 지식이 폐하기 전에 “스스로 끝난, 즉 임시로 주었던 은사”이다. 이런 은사를 성경의 “계시은사”(revelatory gift)라고 하기도 하고 “임시은사”(extraordinary gift)라고 하기도 한다.

 

사도행전 10장에서 고넬료에게 베드로가 전도할 때 고넬료가 방언을 말한 것이나(행 10:46), 사도행전 19장에 나오는 에베소 사람 12명에게 바울이 전도할 때 그들이 방언한 것(행 19:7)들은 베드로나 바울이 전도한 말씀이 과연 하나님의 말씀으로 틀림이 없는 진리의 말씀임을 그들로 인쳐서 믿게 하려는 복음 전파 초창기의 하나님의 임시적인 특별사역으로 설명된다. 이상하게도 그 이후부터는 방언에 관한 언급이 없다. 바울의 다른 서신은 말할 것도 없고 일반 서신에도 방언 언급이 전혀 없다. (생략)

 

방언은 성경이 완성되기 전에 여러 가지 이적 기사처럼 하나님이 성경을 기록하게 하면서 하나님의 계시를 받는 수단과 또 하나님의 말씀임을 확증하는 수단으로 기독교 초기, 아직 성경이 완성되기 전, 교회도 자립하기 전에 임시로 주셨던 하나님의 “임시 은사”(臨時恩賜, extraordinary gift of God)로 다른 말로는 “revelatory gift”이며 영속성(永續性)을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다. 오순절의 사건도 유일회(唯一回)적 사건이다. 반복되지 않는다. 사도행전 2장의 사건은 요엘 2:28의 성취이며 모세 시대에 모세가 택한 70인에게 하나님이 그의 신(神)을 부어 주어 사역하게 했던 것을, 이제 신약 교회가 출발하면서 모든 성도들에게 그런 사역을 감당하도록 성령으로 역사하신 것이다. 그래서 베드로는 요엘 선지의 예언을 언급한 것이다. 노아의 홍수가 반복 안 되듯, 십자가가 반복 안 되듯, 오순절은 단회적인 사건(單回的事件, once for all)이며 방언도 임시로 주셨던 은사이다. 이것이 개혁주의 신학의 입장이며, 칼빈의 입장이며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견해 이다. 그 외에 이런 신학을 주장하는 신학자들은 다음과 같다:

 

William Hendriksen, Robert L. Dabney, Louis Berkof, Charles Hodge, Archibald

Alexander, Ned. B. Stonehouse, Geerhardus Vos, J. Gresham Machen, Richard Gaffin, Jr., W.G.T. Shedd, Abraham Kuyper, R.B.Kuiper, John Knox (일부 생략) 그리고 교부에 올라가서는 Augustine, Crysostom, Origen, Cyril of Alexandria, Clement of Alexandria, Eusebius, Tertullian, Irenaeus 등 많은 쟁쟁한 학자들이 계시의 종결, 오순절의 단회성, 성령의 임시 은사들을 주장한다.

 

하나님의 말씀이 완성된 지금은 그런 방법이 필요 없어서 하나님은 그렇게 역사하지 않는 것이며 하나님의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다. 흔히 히브리서 13:8에 “예수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변함이 없다”란 말씀을 인용하여 임시은사의 영속성을 주장하지만 예수님의 인격은 어제나 오늘이나 변함이 없으시다. 그러나 그의 사역은 이전과 지금은 다르다. 이전에는 십자가 사건 전이며 제자들과 직접 이 땅에서 사역하셨다. 그러나 지금은 영광 중에 계시며, 그의 영과 말씀으로 역사하여 구원할 자를 구원하며, 동시에 역사를 주관하고 계시고, 만국을 철장으로 다스리고 계시는 만왕의 왕이며 만주의 주가 되신다. 그의 사역 방법 까지도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변함이 없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구속사역(救贖使役)을 제한할 수 없다. 그러므로 히 13:8 말씀은 방언 지속의 증거구절로 이용할 수 없다.

 

구약 말라기가 끝난 후 400년간 침묵을 지켰다. 선지자를 보낼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다.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구약에서 하나님이 하실 말씀을 모두 하셨기 때문에 선지자를 보낼 필요가 없어서 안 보내신 것이다. 이제 옛 선지자들을 통해서 약속하신 메시야를 세례요한을 통해서 기름 부어 세우게 하시는 하나님의 계획 때문에 400여 년간 침묵이 흘렀던 것과 같이 하나님은 전제주권을 갖고 모든 것을 그의 뜻대로 그의 계획대로 그의 목적을 위하여 역사하신다.

 

방언은 성경이 완성될 때까지 존속하여 하나님의 계시를 받던 임시 은사였다. 고린도전서 13;8에 “방언은 스스로 사라진다”라는 말은 방언이 그 목적인 성경을 완성한 다음에는 그쳤다는 말이다. 지식과 예언이 끝난다는 말은 헬라어 원문에서 “katargew”(카타르게오) 라는 동사의 “직설법 수동태 미래형”을 쓰고, 방언이 그친다는 말은 이와 전혀 다른 동사인 “pauw”(파우오)란 동사의 “중간태 미래형”을 쓰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한다. 헬라어의 중간태(middle voice)는 “스스로 무엇 무엇이 어찌어찌 되다”의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방언이 스스로 그치게 될 것이라”라고 번역하면 정확한 번역이다.

 

어떤 분들은 고린도전서 13:12을 들어서, 주님이 재림할 때까지 임시 은사가 계속한다고 주장하지만 이 주장이 잘못된 것은 만일 주님이 재림까지 지속한다고 하면 왜 “parousia”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을까? 바울은 주님의 재림을 말할 때는 반드시 그의 특유한 단어 “parousia”(파루시아)란 단어를 썼다. 가령 예를 들어 바울은 주의 재림을 말하는 대목에서 “parousia”를 쓴 증거를 고전 15장이나 살전 4장과 5장에서 보면 모두 한결같이 “parousia”란 단어를 쓰고 있다. 그러하다면 만일 바울이 고전 13장에서 이런 방언 같은 임시 은사가 주님 재림할 때까지 지속한다는 뜻을 나타내려 했다면, 왜 “parousia”란 단어를 여기에서만 피했겠는가? 라고 생각해 보아야 한다.

 

많은 사람들의 오해를 불러오는 고전 14장을 통해서 방언의 원칙 6가지를 살펴보았는데, 그 6가지 원칙 중에서 그 어느 하나도 현대 방언에서는 지켜지지 않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오늘날의 방언은 어디서 오는지 몰라도 성경의 원칙을 무시하고 있으니 분명 성경에서 오는 것이 아니고 성경적이 아니라면 성경은 하나님의 정확 무오한 말씀인고로 하나님에게서 오는 것이 아님도 입증된다. 오늘날의 방언은 계시록 22장 18-19절의 위반이다. Lehman Strauss 박사는 그의 저서, “Speaking in Tongues”(방언 말하기, p.19)에서 현대방언의 출처에 관하여 3가지 가능성을 말한다. “첫째는 혼자서 중얼거리거나, 둘째, 군중심리로 남이 하니까 따라서 하는 하등의 의미 없는 소리이거나, 셋째, 사단에게서 오는 것이다”라고 Strauss 박사는 말한다. Chicago Moody Bible Institute 의 Merrill Unger 박사도 같은 생각이며(Merrill Unger. New Testament Teaching on Tongues, 방언에 관한 신약성경의 가르침, 참고), 또한 Master Theological Seminary 의 John MacArthur 박사도 그의 저서 “Charismatic Chaos”(혼란스런 은사주의 운동)에서 필자와 같은 생각을 말하고 있다.

 

방언을 말하는 사람은 100퍼센트 이적과 기적을 좋아하고 지금도 성경에서 읽어보는 그런 기적, 이적이 일어난다고 믿는다. 사람이 죽었다가 살아나고, 사람이 물위를 걸어 다닐 수 있고, 집 쌀독에 쌀이 없을 때 목사에게 음식을 잘 대접하면 그 쌀독에 쌀이 가득 가득 채워지는 것으로 믿는다. 그래서 목사를 우상처럼 대한다. 잘못된 신앙이다. 이들은 또한 방언과 구원을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위에서 우리가 살펴 본 바와 같이 현대 방언은 성경에서 벗어난 행위이기 때문에 방언을 멀리하는 것이 개혁주의 성도의 신앙생활이 되어야 한다.

 

참으로 거듭난 성도는 “기록된 말씀”만 믿고 의지하고 순종하며 살아가야 한다(Sola Scriptura). 성경은 말하기를 "성경대로 믿지 아니하면 구원이 없다" 고 가르치며 “anathema”(저주)가 임한다고 갈라디아 1:8-9에 같은 말을 두 번씩 반복하면서 가르친다. 또한 마태복음 7:22 이하에는 잘 믿는다고 하면서 실제적으로는 비성경적인 사역으로 남을 속이며 악행을 행한 "자칭 주의 종" 들이 심판날에 주님으로부터 준엄한 책망을 받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갈라디아 본문의 '저주"란 말은 원문인 헬라어에서 "아나세마" (anathema) 인데 이 말은 "위에 놓여졌다" 즉 "하나님 앞에 놓여져 있다" 라는 말이고 이 말을 설명하면, "이제는 하나님 앞에 놓여진바되었으니 만일 그가 잘못 사역한 것이 판명되면 그는 영락없이 저주를 받을수 밖에 다른 피할 길이 없다" 는 의미이고 "저주" 를 받는다는 말은 구원이 없다는 말이다.

 

세상에서 아무리 요란하게 인기리에 사람의 각광을 받으며 대형교회를 목회하고 신학교에서 벼라별 신기한 학설을 주장하며 멋진 강의와 설교를 하면서 학생들에게 혹은 교인들에게 인기를 얻어도, 나중 대심판날 주님으로부터 "내가 너를 도무지 안 적이 없다. 택한 적도 없고, 안수한 적도 없고, 너에게 사역을 맡긴 적도 없는데 너는 너의 멋대로 남에게 인기를 독차지하기 위해서 참다운 주의 종을 능멸하면서 이단을 가르쳤으니 이 불법을 행한 자야, 내게서 영원히 떠나라" 라고 한다면, 그 모든 세상에서의 영화가 무슨 소용일까?

 

목회자들이여, 바로 사역하자, 성도들이여, 사이비 사역자에게 속지 말자.

바로 알고, 바로 믿고, 바로 신앙 생활해야 할 때이다.

 

참고서적:

Calvin, John. Bible Commentary. Grand Rapids, Mich.: Baker

Gromacki, Robert. Modern Tongues Movement. Phillipsburg, N.J. P&R.

MacArthur, John. Charismatic Chaos. Grand Rapids, Mich.: Baker

Strauss, Lehman. Speaking in Tongues. Phillipsburg, N.J. P&R.

Robertson, O Palmer. The Final Word. Edinburg: Banner of Truth Trust.

Unger, Merrill. New Testament Teaching on Tongues. Chicago: Moody Press

 

-현대 방언은 성경적인가? (상) 끝-

 

 

 

 

현대 방언은 성경적인가? (II)

 

 

방언을 말하는 사람들은 대개 다음 세 가지 근거로 현대 방언의 정당성을 주장한다.

 

첫째, 성경에서 “방언 말함을 금하지 말라”고 하고 (고전 14:39 ) “예언을 소멸치 말라”고 살전 5:20) 하지 않는가?

 

둘째, 인간이 어찌 하나님의 하시는 사역을 제한할 수 있는가?

 

셋쩨, 방언을 경험한 사람이 현재 우리들 주위에 많이 존재하지 않는가? 이들의 방언은 어디서 온단 말인가?

 

이제 그들의 이 <세 가지 근거> 를 성경적으로 검토해서 과연 이런 주장이 타당성이 있는지 알아보자.

 

 

첫째, 성경에서 “방언 말하기를 금하지 말라” (고전 14:39) 라고 말하고 있고, 또 “예언을 소멸치 말라” (살전 5:20)에 분명히 가르치고 있지 않은가? 그런데 왜 방언을 금하는가?

 

물론 성경 고린도전서 14:39 에서는 “방언말하기를 금하지 말라”고 했고, 데살로니가전서 5:20에서는 “예언을 소멸치 말라” 고 한 것이 사실이다. 이 말씀을 바로 연구하기위해서 우리는 바울의 초기 전도사역과 후기 전도사역을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바울이 데살로니가에서 설교할 때 주님의 재림을 많이 설교했는데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그들 당대에 주님이 재림하는 줄 알았다 그러나 교인들은 하나씩 죽어가고 주님의 재림 소식은 없고 하여 교인들이 동요하자 바울이 그의 13개 편지 중 제일 먼저 데살로니가전서를 기록했으니 데살로니가전서는 바울의 초기 전도사역 때의 편지이다. 고린도전서도 바울의 사역의 초기의 편지이다. 이 당시는 구약만 있을 뿐 아직 신약성경은 완성되기 전이었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계속 환상, 계시, 방언 등을 통해서 하나님의 뜻을 나타내시던 때이므로 바울은 고린도 교회나 데살로니가 교회를 향하여 방언 말하기를 금하지 말며 더욱 방언 말하기를 사모하라고 했고 또 데살로니가 교회에도 편지하면서 예언을 소멸치 말고 하나님이 주시는 말씀을 받으라고 명했다. 다시 말하거니와 이 때는 아직 신약성경이 완성되기 전이었다. 아직도 하나님이 계속 계시의 말씀을 주시던 때이다. 그러므로 방언 말하기를 금하지 말라고 한 것이다.

 

그러나 그 후 바울의 후기 전도사역을 보자.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 등은 바울의 후기의 사역중에 기록한 편지들이다. 여기 어디에도 방언 언급이 없다. 그리고 그 후에 나오는 일반 서신 8개에도 방언 언급은 없다. 왜 그럴까? 생각해 보자.

 

부활하신 주님이 승천하시면서 하신 말씀은 “예루살렘, 유대, 사마리아, 땅끝까지 복음을 전하라”는 것이었는데 (행 1:8), 사도행정 2장에서는 예루살렘에서 모든 사람이 복음을 전하도록 성령을 부어 주셨다. (이전에는 모세와 그를 돕는 자 70인 그리고 선지자들과 사도들이었다). 사도행전 2장에서 신약 교회의 시작과 함께 이제는 유대인,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사람과 또 이방인들이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도록 하나님이 성령으로 역사 하셨다. 사도행전 8장에는 사마리아에 빌립을 통해서 복음이 전파되었는데 예수님이 말씀하신대로 집행되었다. 물론 8장에서는 방언했다는 말이 없지만 문맥을 보아서 방언을 했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사도행전 10장에는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고넬료에게 전도하여 방언을 했는데 이는 예수님이 승천할 때 말씀하신 “유대”에서 일어난 일이다. 예수님이 승천 직전에 하신 말씀, ‘예루살렘, 유대, 사마리아, 세상 끝“에서 이제 ”세상 끝“ 에 전도하는 것만 남았다. 그 당시 사람들은 에베소가 멀리 떨어져 있어 ”세상 끝“ 인줄 알았다. 사도행전 19장에는 에베소에서 일어난 복음전파의 사건을 말하고 있는데 그곳의 장로 12명이 성령을 받고 방언한 이야기가 기록되어있다. 이제 주님이 승천하실 때 사도행전 1:8에서 하신 말씀이 모두 성취되었다. 예루살렘에서, 유다에서, 사마리아에서 그리고 세상 끝인 (당시의 생각으로는) 에베소에서 까지 성령이 강림하여 전도하도록 성령을 부어 주었고 이것이 하나님에게서 오는 것임을 인치도록 방언을 주었다.

 

그후에는 방언에 대해서 성경은 잠잠하고 일체 언급이 없다. 왜? 더 말해 보아도 그것은 “세상 끝” 까지 복음을 전하라는 말의 연속일 뿐이겠기 때문이다.(생략) 만일 방언이 성도의 구원에 필수라면 방언은 복음서에도 기록되었을 것이고, 바울서신 13개에 모두, 그리고 일반서신에서도 반드시 언급이 되어야 마땅하다. 그렇게 중요한 방언이라면 겨우 사도행전이나 고린도전서에서만 언급하고 말 일이 아니지 않은가?

 

그러나 그 후에 우리는 성경에서 방언에 관해서 읽어보지 못한다. 하나님의 계시가 끝났고, 계시가 끝났으니 그 계시를 전달하는 방편으로 주셨던 방언이 필요 없게 되었기 때문에 방언의 언급이 없는 것이다. 목적이 달성되었는데 수단이 더 이상 무슨 소용이 있는가? 고로 하나님의 목적과 수단을 엄격히 구분해야 한다. 목적은 성경기록, 수단은 방언과 환상, 꿈, 천사의 내방, 꿈 해몽 등이었다.

 

만일 오늘의 방언이 사도들에게 주어졌던 방언과 같은 성격과 같은 권위로 하나님의 말씀을 받는 수단이라면 방언을 절대로 중단해서는 안 되며 방언으로 계속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을 받아야 한다. 하나님이 오늘날 방언을 통해서 새로운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을 주시는가? 아니다. 오늘의 방언은 하나님의 계시를 받는 수단이 아니다. 성경은 이미 완성되었다. 그것은 성경자체가 증언한다. 계시록 22장 18-19절이 이를 증명하며 히브리 1:1 이 이를 증명한다. “옛적에 여러 선지자로 말씀하시던 계시가 이제 그리스도에게서 완성된 것이다.”하나님의 계시는 종결되었다. 이는 성경이 그렇게 증언하고 또한 역사적 신앙고백서들이 그렇게 증언한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제1장 제1절이 그렇게 증언한다.

 

 

둘째, 사람이 어찌 하나님의 능력을 제한할 수 있는가? 라는 말을 살펴보자.

인간은 하나님의 전제주권을 침범할 수 없고 하나님의 사역을 막을 수도 없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전제주권을 가지고 자기의 영광을 위해서 자기의 시간표와 계획대로 역사 하신다. 그러므로 방언 문제에 대해서도 하나님의 능력이나 사역을 제한할 수 없다. 다만 하나님께서 하신 말씀이 항상 하나님의 구원사에서 항상 같은 의미를 지니는가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하나님의 사역은 항상 동일한가? 흔히 말하기를 히브리 13:8 에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변함이 없다” 라고 하는 성경구절을 방언을 정당화하는데 이용한다.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변함이 없다” 란 말이 무슨 의미인가? 예수님이 과거행하신 모든 일을 지금도 하신다는 말인가?

 

이 땅에서 제자들과 같이 육신으로 거닐면서 병자를 고치고 이적 기적을 행하시던 일을 지금도 행하신다는 말인가? 주님이 지금도 십자가에 달리시는가? 주님이 지금 하나님 나라에서 피를 흘리시는가? 주님은 지금 영광중에 계신다. 그 분은 옛날 행하시던 그런 방법으로 지금 역사하지 않으신다. 십자가 사건은 다시없다. 반복되지 않는다. 오순절 사건도 다시 없다. 마치 구약의 노아의 홍수 사건이 다시 반복되지 않는 것과 같다. 이 모든 사건은 “하나님의 구속사” (救贖史, Redemptive History)에서 유일회적 (唯一回的事件, unique events in God's Redemptive History) 일뿐 다시 반복하지 않는다. 이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며 개혁주의 신학의 가르침이다. 한국의 박윤선 목사님의 가르침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본문 히 13:8 의 의미는 무엇인가? 예수님의 사역 면에서 지금은 그의 영이신 성령과 말씀으로 전 세계를 철장으로 다스리며 또한 구원할 자를 구원하시지만 그의 인격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는 말이다. (생략)

 

구약 때는 의식법에 따라서 굽이 갈라지지 않은 것은 의식적으로 부정하여 먹지 말아야했고 비늘이 없는 생선도 먹어서는 안 되었다. 분명한 하나님의 말씀이다. 이것을 누가 부인하겠는가? 그러나 신약에 들어와서 하나님은 바울을 통해서 그런 것들은 그리스도의 그림자인 의식법에 속하므로 그림자가 아니고 실물인 그리스도가 모든 의식법을 완성했으므로 이제 그런 의식법은 철폐되었고 따라서 그런 의식법에 얽매어 먹을 것과 먹지 말아야 할 것을 가릴 필요가 없다고 골로새 2:15-17에서 말하고 있지 않은가? 왜 서로 앞뒤가 다른가? (생략)

 

 

셋째, “내가 방언하는 경험이 있으니 이는 성경적이다” 라고 하는 근거를 살펴보자.

무엇이든 내가 경험하기만 하면 그것이 진리 이고 성경적인가? 그것은 어불성설 (語不成說) 이다. 그럴 수는 없다. 저마다 어떤 경험을 통해서 진리를 터득했다고 주장하면 성경의 권위는 설 자리가 없다. 개혁주의 성경해석 방법의 근간은 성경이다. 하나님이 선지자들과 사도들을 통하여 무려 1,400 년간에 걸쳐서 기록한 말씀, 완성된 그 말씀, 그 “기록된 성경말씀만이 우리 신앙과 생활의 유일한 법칙” (NORM) 이라고 개혁주의 신앙은 주장한다. 우리의 신앙은 경험 중심이 아니다. 이는 모든 경험은 주관적(subjective) 이기 때문이다. 주관적인 주장은 개인의 특권이고 개인의 생각일 뿐 개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객관성이 결여된 것은 무엇이든 진리라고 할 수 없다.

 

진리 여부를 가늠하는 잣대는 바로 정경(正經) 인 성경뿐이다. 그래서 성경을 정경 (canon) 이라고 한다. “canon' 이란 원래가 “잣대”(ruler) 라는 의미이다. 모든 신앙문제는 성경이 그 잣대 이어야 한다. 이유는 성경만이 틀림이 없는 유일한 진리이기 때문이다. 진리이신 하나님이 계시로 기록했으므로 틀림이 없다는 말이다. 그래서 성경을 “정확 무오” 하다고 한다 (infallible and inerrant).

 

오늘 교회를 가장 어지럽히는 것은 소위 “경험”이다. 옛날 18세기 19세기 합리주의자들의 생각이 바로 이런 경험위주의 위험한 철학이었다. 프랑스의 계몽주의자들, 이를테면, Voltaire나, Jean-Jacques Roussau, Montesquieu 등은 모두 기존의 신앙에서 벗어나서 인간의 이성과 경험에 비추어서 합리적이 아니면 아무 것도 믿으려 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사상은 미국에 들어와서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중반까지 장수(長壽)를 누리며 살았던 뉴욕 콜럼비아 대학에서 교육학을 가르친 John Dewey의 실용주의 (Pragmatism) 로 연결된다. John Dewey의 철학은 오늘 성행하고 있는 후기 근대주의(Postmodernism)의 기수중의 한 사람인 Jacques Derrida에게 영향을 주었고 19세기의 Friedrich Wilhelm Nietzsche는 Postmodernism의 비조(鼻祖)인 Michel Foucault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 이들이 사회를 결단내고 신학계에 큰 해악을 끼쳐 오늘의 emergent church 운동 같은 기독교를 파괴하는 철학사조를 낳게 했다.

 

가장 위험한 것은 “경험” 에 호소하는 신앙행위이다. “내가 경험했으니 그것은 ‘절대적 진리’이고 그런 경험을 못한 사람은 아직 ‘진리’ 에 이르지 못했다” 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과연 그런 주장의 객관성을 보증할 수 있는가? 개혁주의가 가장 배척하는 것은 성경은 접어 둔 채 “경험” 만 고집하는 비정상적 신앙태도이다. 한 사람이 주관적으로 경험한 것이 진리라고 단정할 수 있는 근거가 어디 있는가? A 라는 사람의 경험과 B 라는 사람의 경험이 서로 다를 경우 어느 사람의 경험이 진리인가? 이런 경우 두 사람의 주장 모두 비진리이거나 한 사람이 맞거나 할 수 밖에 없으며 두 사람 모두 진리일 수는 없다. 왜냐하면 진리는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대개의 경우는 두 사람 모두 오류를 범한다. 한 사람 개인의 주관적 경험이 문제가 아니다. 성경말씀만이 유일한 진리이다. 길이시며 진리이시며 생명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의 말씀이 성경이고 이 말씀만이 진리이다. 개혁주의는 성경 이외의 다른 계시를 배격한다. 역사적 신앙고백들도 성경의 권위 밑에 있는 것이며 절대로 이단 집단처럼 신조가 성경위에 있거나 성경과 대등한 위치에 있지 않다.

 

진리 여부는 성경에 비추어 판가름 난다. 아무리 기상천외한 “경험”을 했다고 떠들어도 성경에 위배되는 ‘경험“ 이라면 그것은 개인의 착각에 불과한 것이며 진리가 아니다. 하나님의 뜻이거나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다. 성경완성 이후에는 하나님이 개인적으로 계시를 통해서 말씀하지 않으시고 오로지 기록된 말씀인 성경을 통해서만 말씀하신다. 그래서 개혁주의 신앙은 “오직 성경” (Sola Scriptura) 을 외치고 “성경은 우리 신앙과 생활의 유일한 법칙” 이라고 믿는 것이다.

 

“경험했다‘ 는 사람은 자기 자신으로는 만족할지 몰라도 그런 경험이 객관성 있게 진리라고 입증될 수가 없다는데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개인 한 사람의 경험에 호소하지 않고 성령으로 기록된 성경말씀을 통해서만 말씀하시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개인의 경험은 믿을 것이 못되며 더욱 하나님의 계시라고 믿을 수 있는 근거가 없으므로 성경과 같은 차원의 하나님의 계시라고 믿어서는 안 된다.

 

방언 문제는 심각하다. 지금 방언에 관한 몰이해(沒理解)나 오해(誤解)로 인하여 한국이나 미국은 물론 전 세계 기독교 교계가 손상을 입고 있다. 교회도 분열되고, 가정도 파탄되고 복음을 바로 전하는 목회자는 설 땅이 좁아지고 있고 사이비 목사들이 온통 교계를 주름 잡으며 ‘다른 복음 (to heteron euanggelion, 토 헤테론 유앙겔리온, another gospel) 을 전하고 있다.

 

그들은 무서운 흑암의 세력에 붙들려 자신이 전하는 복음이 거짓 복음인 것을 모르거나 혹은 일부러 사람의 인기에 영합 하고 저 바른 복음이 아닌 것을 알면서도 양심의 가책 없이 주일마다 하나님의 말씀이 아닌 거짓 복음을 열심히 전하고 있다. 그런데도 평신도는 성경에 무식하고 신학에 백지(白紙)이므로 그들의 잘 못된 가르침이 진리인줄 알고 속아 넘어간다.

 

 

꿑으로 꼭 짚고 넘어갈 중요한 이야기가 있다.

요즘 Wayne Crudem 을 많이 인용한다. 한국 목사들 중에는 그가 쓴 “조직신학” 을 애용하는 사람들도 눈에 띈다. 조직신학 책은 Louis Berkhof 나 프린스톤 신학의 거장 Charles Hodge 의 조직신학 (세권) 이나 RTS 의 교수로 있는 R. Reymond 교수의 것이 Crudem 의 조직 신학 보다 훨씬 좋다. 이 글을 읽는 분들로서 기독교의 교리를 바로 알고저 하는 자는 반드시 다음 개혁주의 학자들이 쓴 책을 읽기 바란다. 즉:

 

루이스 벌콥 (Louis Berkhof) 저. 조직신학, 기독교 교리 요강, 기독교 교리사

찰스 핫지 (Charles Hodge) 저. 조직신학 (3권)

로버트 레이몬드 (Robert Reymond) 저. 기독교 조직신학

벤자민 워필드(Benjamin Breckenridge Warfield) 저. 기독교 교리, 거짓 기적, 영감론,

그래셤 매천 (John Gresham Machen) 저. 바울종교의 기원

허만 바빙크 (Herman Bavinck) 저 개혁주의 교의학 (4권)

프란시스 튜레틴 (Francis Turretin) 저. 기독교 변증개요 (3권)

존 칼빈 (John Calvin) 저. 칼빈의 기독교 강요 (영문은 McNeill 이 편집한)

 

이상 열거한 책들만 읽어도 이단이나 거짓 가르침에 빠지지 않는다

 

그는 자신이 개혁주의자라고 하면서도 방언이나 계시를 인정하는 사람인데 여기서 그의 다른 학자로서의 업적은 언급할 필요가 없고, 그의 성령의 임시은사 지속론에서만 비평한다면 그는 고린도전서 14:29말씀에서 “분변한다는 말” 의 헬라어 원어 동사인 “diakrino 디아크리노” 의 의미를 오해하고 있는데 문제가 있다. Crudem 은 본문 고전 14:29에서 “방언은 두세 사람이 할 것이고 나머지는 분변하라” 는 말을 해석할 때 원어의 의미와는 영 다른 말로 이해 했다. 그의 고전 14:29을 해석함에 있어서 Crudem 은 그 “분변할 것이요” 란 말을 “다른 사람이 방언으로 예언을 하면 그 말이 참으로 하나님에게서 오는 것인지 여부를 분별하여 그 말씀이 하나님으로부터 오면 받아 들이고 그렇지 않으면 거짓으로 말하는 것이나 받아서는 안 된다“ 고 해석한다. 과연 그 구절이 그런 의미 인가?

 

문제의 고전 14:29의 “분변할 것이요” 의 “분변하다‘라는 헬라어인 ”디아크린노 diakrino" 란 단어는 반드시 “사람을 분별할 때, 즉 사람을 구별할 때 사람에 대해서만" 사용되며 절대로 어떤 사상이나 이념이나 철학 사상들을 구별하는데 쓰이는 단어가 절대로 아니다.

 

그러므로 고전 14:29의 말씀은 “두 세 사람이 예언할 때 차서를 따라서, 한 사람이 하면 다른 사람이 하고, 또 그 다음 사람이 말하도록 사람과 사람을 구별하라” 는 말이며 Crudem이 말하는 것처럼 예언하는 사람들이 하는 말이 진짜인가 가짜인가를 분별하라는 말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오해가 없기를 바란다.

 

그러기에 원어공부가 필요하고, 그래서 신학을 바로 공부하는 유명 신학교 학생들은 밤을 새워 코피 (coffee) 를 마시며 코피(nose-bleeding)를 쏟으며 그 어려운 헬라어와 히브리어, 래틴어를 공부하는 것이다. “인내는 쓰지만 그 열매는 달다” 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이상으로 두 번에 걸쳐서 현대 방언의 성격을 연구해 보았다. 할 말이 많지만 미흡한 점은 차차 보완하고자 한다. 필자의 목적은 사도시대의 방언은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성경을 기록하는 방편이었던데 반하여 오늘의 방언은 하나님의 계시를 받는 수단 방법이 아니라 임의로 주관적으로 발성하고 문법이 없는 소리로, 사도시대의 방언이 교회에 덕을 끼쳤던 방언이라면 오늘의 방언은 교회에 덕을 끼치기는커녕 교회를 분열시키는 비정상적인 신앙행위라는 것을 지적하고저 함이다. 성도들의 각성이 필요한 때이다.

 

예레미야 5:30-31을 읽어보라, “이 땅에 기괴하고 놀라운 일이 있도다. 선지자들은 거짓을 말하고 제사장은 자기 권력으로 다스리고 백성은 그것을 좋게 여기니 그 결국에는 너희가 어찌하려느냐?“ 선지자 예레미야 시대 사람들은 참 선지자의 말을 듣지 않았다. 예레미야는 순교했다. 하나님은 오늘 예레미야 선지를 통해서 700년 전에 유다 백성에게 하셨던 바로 그 경고의 말씀을 지금 우리에게 경고 하신다.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자

 

-현대 방언은 성경적인가 (하), 끝-

 

 

(Sola: 일부 맞춥법 교정 및 생략)

 

 

https://m.youtube.com/@osola24         (정통신학 유튜브 Osola)

 

Osola

정통신앙을 전하는 유튜브입니다. 지금 이 글을 클릭하시면 유익한 글들이 있는 다른 링크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기독교 자료 (티스토리): https://hisola.tistory.com 기독교 자료 (네이버): https://cafe.n

www.youtube.com

 

https://cafe.naver.com/data24         ('기독교 자료' 네이버 카페)

 

기독교 자료 : 네이버 카페

신학 자료 개인 카페입니다. 추천 오픈채팅 '기독교인들의 교제와 성경대화' open.kakao.com/o/g7UYmxQe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