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 자료 38

도르트 신조의 형성과 그 역사적 의미

도르트 신조의 형성과 그 역사적 의미 이종전 원장 (대신총회신학연구원) 도르트 총회가 열린지 400주년을 맞이해 2018.7.10에 있었던 합신교단과 대신교단의 연합세미나 발표 자료입니다. 첨부파일에 전문을 올려놨으니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https://m.youtube.com/@osola24 Osola (유튜브) Osola 정통신학을 전하는 유튜브입니다. 지금 이 글을 클릭하시면 유익한 글들이 있는 다른 링크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기독교 자료 (티스토리): https://hisola.tistory.com 기독교 자료 (네이버): https://cafe.n www.youtube.com https://hisola.tistory.com 기독교 자료 (티스토리) 기독교 자료 추천-유튜브:Osola / 네이..

교리 자료 2024.02.2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가 완성되기까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가 완성되기까지 튤립 선교회 김명도 교수 NAPARC 제20대 회장 역임 tulipministries.org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WCF)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기독교 교파마다 각기 그들이 인정하고 따르는 신앙고백서가 있다. 오늘 전 세계를 통해서 장로교파는 예외 없이 모두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를 따라서 헌법을 정한다. 헌법이란 교회의 정치, 교리, 권징, 예배, 행정 등을 말한다. 그러므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의 가르침을 잘 알아 두는 일이 중요한데 실제에 있어서는 심지어 목회 일선의 목자들까지도 WCF 내용을 잘 모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교리상의 오류를 범하기도 하고 오류를 도입하기도 하는 것..

교리 자료 2024.01.10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배경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배경 김병훈 교수/ (글 쓸 당시)화평교회 담임, 합신 조직신학 조교수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간략한 역사적 배경 "웨스트민스터 회의는 스코틀랜드 장로교에 의해 성립돼" 우리 주님 예수 그리스도의 평강이 함께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이번 호부터 시작하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담겨 있는 개혁신학의 사상들에 대한 해설을 연재하게 됨을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칼빈의 사상 계승한 웨신문서들 2009년 올해가 개혁신학의 기초를 놓은 칼빈이 탄생한지 500주년이 됨을 기념하는 해라는 사실을 생각할 때 더욱 그러합니다. 왜냐하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칼빈의 신학사상을 계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칼빈주의를 대표적으로 표현하는 신앙문서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이들은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참석한 이들..

교리 자료 2024.01.03

도르트 신조의 역사와 내용 연구

도르트 신조의 역사와 내용 연구 초대교회 이래로 교회는 교회의 순수성을 보존하기 위해 많은 이단들에 대항하여 정통적 진리를 결정해 왔다. 역사적으로 교회는 삼위일체, 그리스도의 양성의 통일성, 예정론 등의 중요한 진리를 지키기 위해 동료를 이단으로 정죄하는 아픔을 감수하면서까지 신앙에 관한 진리를 보수하며 그 진리를 보존해 온 것이다. 그 노고가 문서의 형태로 우리에게 주어진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 조항 하나 하나를 살필 때, 그것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매우 겸허하며, 신중해야 된다고 본다. 왜냐하면, 그 진리에 대한 논쟁이 나의 주변에 있다면, 그것이 나의 신앙의 고백의 본질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그 진리의 형태로 결정된 신조들이 하나님께서 성자 안에서, 그리고 성령에 의..

교리 자료 2023.12.27

도르트 총회의 역사적인 배경과 의미

도르트 총회의 역사적인 배경과 의미 (도르트신경 400주년 기념 논단) 박상봉 교수 (2018.4.11) 호마루스 중심의 목회자들은 1611년 알미니안누스의 입장을 반대한 ‘반항의서’로 반격했고 그 핵심은 “예수 그리스도는 오직 선택된 사람들을 위해 죽으셨고, 하나님의 은혜는 불가항력적 이며 그리고 믿음은 잃어 버릴 수 없다”는 것이다 도르트 총회는 알미니안주의의 오류를 정죄했다는 것만 아니라 4세기 펠라기우스 이래로 논쟁이 지속된 하나님의 절대주권에 근거한 구원, 교회, 신자의 삶이 명백히 규명되었다는 데 더 큰 의의가 있다 신성로마제국의 부르고뉴(Bourgogne) 영토에 속했던 네덜란드에서 칼빈의 신학적인 영향력은 1540년대 이래로 인적교류, 제네바 아카데미, 서적보급, 서신교환 등을 통해서 지속..

교리 자료 2023.12.20

스코틀랜드 교회의 <제 2치리서(1578년)>와 우리

스코틀랜드 교회의 <제 2치리서>와 우리 이승구 교수 (2014.11.3) 이승구 박사(합신대 조직신학)께서 뉴스앤조이에 게시한 글을 정리함 (형람서원 고경태 목사) I. 들어가는 말 요한 낙스(John Knox, 1514?~1572) 사후에 스코틀랜드 교회의 사상적 지도자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고 흔히 '장로교주의의 아버지(the father of Presbyterianism)'라고 불리는 앤드류 멜빌(Andrew Melville, 1545~1622)의 주도하에 작성된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가 멜빌이 총회의 의장(moderator)으로 수고했던 1578년 스코틀랜드 교회(the Church of Scotland) 총회에서 받아들여짐으로 스코틀랜드에 철저한 장로교 조직..

교리 자료 2023.12.16

제 2스위스 신앙고백서 교리적 특징

제 2스위스 신앙고백 (1566년)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A.D. 1566) (1) 제 2스위스 신앙고백의 역사적 배경. 제2스위스 신앙고백서는 쯔빙글리(Zwigli)의 제자였던 블링거(Henry Bullinger)에 의해서 작성되었다. 그는 스스로 이 신앙고백에 따라서 살고, 죽기를 원하는 마음으로 이 작업을 수행했다고 밝혀지고 있다. 이것은 1562년 라틴어로 초본이 작성되었는데 그 자신이 완성하지 못하고 죽기 얼마 전에 이 고백서에 전적으로 동의했던 순교자 피터(Peter Martyr)에게 고백서의 초안을 보여주고 자신이 죽으면 이것을 잘 다듬어서 추리히 시장에게 보내주기를 부탁하면서 이 고백서는 공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렇게 작성된 본 신앙고백서는 대륙의 ..

교리 자료 2023.12.13

제 2 스위스 신앙고백서 간략 소개

제 2 스위스 신앙고백 (1566년 - Second Helvetic Confession) 칼빈아카데미 종교 개혁이 활발하게 전개되던 당시 스위스의 경우, 각 도시들은 쯔빙글리가 루터보다 1년 앞선 1516년도부터 선포하기 시작한 개혁적 메시지에 따라 1529년 초부터는 본격적인 개혁을 시도하고 있었습니다. 프로테스탄트들은 미사와 의식과 수녀원 제도들을 폐지하고, 각종 성상들을 깨트려버렸으며, 온갖 그림으로 치장되어져 있는 성당 벽들을 하얀 색으로 칠해버렸습니다. 당시 쯔빙글리는 몇 가지 악기를 손수 연주할 수 있을 정도로 음악을 좋아했지만, 성당의 오르간들도 치워버리면서, 예배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쯔빙글리는 교회 생활 전반에 걸쳐 성경으로써 검토하기 시작했고,..

교리 자료 2023.12.06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 (The Heidelberg Catechism A.D. 1563) 1) 하이델베르그 교리문답의 역사적 배경. ① 교리문답서 전의 역사적 배경 본 교리문답서는 독일 지역에서 만들어진 개혁주의 신앙고백서이다. 독일은 이미 루터에 의해서 종교개혁신앙을 받아 들였던 지역으로서 활발하게 종교개혁 운동이 전개되고 있었던 지역이었다. 그러나 1540년을 접어들면서 하이델베르그에서는 새로운 신앙의 모습이 제시되고 있었다. 그것은 1546년 프레데릭 2세에 의해서 좀더 바른 신앙의 모습을 세우고자 하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었던 것이다. 프레데릭 2세는 멜랑히톤을 초빙해서 신학 교수로 세우고자 했으나 멜랑히톤이 이를 거절하고 단지 여러 가지로 도움을 주는 정도에 머물렀다. 그러나 ..

교리 자료 2023.11.29

네덜란드 신앙고백서(1561)에 나타나는 개혁주의 성경관

네덜란드 신앙고백서(1561)에 나타나는 개혁주의 성경관 이상웅(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이 글은 이상웅 박사가 「신학지남」에 기고한 논문이다. 저자는 네덜란드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개혁주의적 성경관에 대해 연구하고 제시한다. 1. 들어가는 말 솔라 스크립투라(Sola Scriptura)는 종교개혁의 형식적 원리이다. 성경이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된 신적인 기원을 가진 문서이기 때문에, 모든 참된 신지식(congnitio Dei)과 선악의 판별 기준은 오직 성경에서 찾아져야 한다. 그러나 근대 비평학의 발달과 더불어서 성경의 영감과 신적인 권위에 대한 확신은 의심으로 변하고 마침내는 비평적으로 다루어야 할 ‘고대문서중 하나’에 불과한 것처럼 여기는데 까지 이르고 만다. 인간을 척도(homo men..

교리 자료 2023.11.22

벨직 신앙고백 해설

벨직 신앙고백 해설 (The Belgic Confession A.D. 1561) 장관섭 목사 (1)벨직 신앙고백의 역사적 배경 이 신앙고백은 남부 네델란드(화란)의 벨기에 지역에서 Guido de Bres에 의해서 작성된 것이다. 특히 화란은 1618년에 도르트 총회를 개최하는 중요한 개혁교회의 요충지었기 때문에 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런 세계적인 개혁교회의 총회가 집행 될 수 있었던 것은 이미 이 지역의 교회들이 사도적이고 어거스틴적이며 또한 칼빈주의적인 개혁신앙을 뿌리깊게 받아들이고 정립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1561년에 이미 이 화란에서는 개혁교회에서 공적으로 인정받게 된 본 신앙고백서를 작성할 정도로 깊은 신학적 내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16-17세기를 거치면서..

교리 자료 2023.11.18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강해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강해 (The Scotch Confession A.D. 1560) (1)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역사적 배경 ​ 스코틀랜드 개혁교회는 장로교의 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후대에 영향을 끼친 그 신학적 정신이 매우 엄밀하고 바른 정신을 확립했으며, 장로교 정치의 기틀을 마련해 주기도 했기 때문이다. 특히 스코틀랜드 개혁교회의 후손들은 16-17세기를 넘어오면서 유럽 대륙의 전지역 중에서 가장 엄밀한 성경의 진리 정신을 오랜 시간 동안 간직해 왔기 때문에 그 가치가 매우 높은 것이다. 즉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도 스코틀랜드 신학자들이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또한 이 정신은 1729년의 미국장로교의 총회 이후에도 계속해서 엄밀..

교리 자료 2023.11.15

프랑스 신앙고백서 소개

“프랑스 신앙고백서, 개혁주의 장로교 신앙고백 ‘원조’” 이대웅 기자 (2019.4.30) ‘위그노와 프랑스 신앙고백서’ 주제 개혁신학포럼 세미나 위그노와 프랑스 신앙고백서’라는 주제로 개혁신학포럼 제17차 정기세미나가 29일 서울 안암동 안암제일교회에서 개최됐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신호섭 교수(고려신대원, 올곧은교회)가 ‘프랑스 신앙고백서의 신학적 의미’를, 서창원 교수(총신 신대원, 고창성북교회)가 ‘위그노 신앙과 그 유산’을 각각 강의했다. 개혁신학포럼 측은 내년까지 2년간 ‘장로교의 뿌리를 찾아서’라는 슬로건 아래 왈도파(Waldenses)로부터 시작돼 위그노(Hoguenots)로 이어진 프랑스 개혁주의 장로교의 역사와 교리를 연구할 예정이다. 오는 가을 세미나에서는 16세기 마르틴 루터보다 40..

교리 자료 2023.11.08

칼빈의 제네바 교리문답 작성 배경

칼빈의 제네바 교리문답 작성 배경 채계관 1. 서 론 칼빈은 루터가 일으킨 종교개혁의 불씨를 전 유럽과 전 세계로 퍼뜨린 개혁의 시조(始祖)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칼빈의 개혁운동과 사상의 중심에는 제네바시가 있었고, 그곳에서 그의 개혁적인 교리와 교회정치가 완성되었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제네바 사역 초기에 칼빈은 단순히 성경을 가르치는 교사 신분에 불과했다. 그러나 그의 신앙 개혁에 대한 불타오르는 의지는 제네바 시(市) 전체를 말씀을 통한 철저한 개혁의 토대위에 세워놓았다. 그러면 칼빈이 제네바 시(市)에서 개혁에 성공할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필자는 이 글에서 그 이유가 시민들의 개혁신앙을 굳게 세워주는 신앙고백과 교리문답 그리고 이를 철저히 실천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

교리 자료 2023.11.01

칼케돈 신조 강해

칼케돈(Chalcedon) 신조 강해 (451년) (1) 칼케돈 신조의 작성배경 및 논쟁 내용 콘스탄티노플 신조와 아다나시우스 신조는 예수 그리스도가 성부와 동일한 신성을 가지신 분임을 밝혔으나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이시면서 또한 완전한 사람임을 고백하는 문제를 가지고 신학자들 사이에 이론(異論)이 많았다. 즉 그의 한 존재 안에 신성과 인성이 어떤 모양으로 연합되어 있느냐의 어려운 문제였다. 신인양성을 믿으면서도 그의 신성을 더 우세한 것으로 강조한 사람들은 주로 알렉산드리아 학파(네스토리우스파, 몹수에스티아의 데오도레)에 속했었고, 그의 인성의 약화를 막으려는 사람들은 주로 안디옥 학파(유티케스)였다. 이러한 기독론의 역사적인 논쟁들을 일괄하여 종식시키고 정통신조를 확립할 목적으로 로마의 감독 레오(..

교리 자료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