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르트신조 3

도르트 신조의 역사와 내용 연구

도르트 신조의 역사와 내용 연구 초대교회 이래로 교회는 교회의 순수성을 보존하기 위해 많은 이단들에 대항하여 정통적 진리를 결정해 왔다. 역사적으로 교회는 삼위일체, 그리스도의 양성의 통일성, 예정론 등의 중요한 진리를 지키기 위해 동료를 이단으로 정죄하는 아픔을 감수하면서까지 신앙에 관한 진리를 보수하며 그 진리를 보존해 온 것이다. 그 노고가 문서의 형태로 우리에게 주어진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 조항 하나 하나를 살필 때, 그것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매우 겸허하며, 신중해야 된다고 본다. 왜냐하면, 그 진리에 대한 논쟁이 나의 주변에 있다면, 그것이 나의 신앙의 고백의 본질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그 진리의 형태로 결정된 신조들이 하나님께서 성자 안에서, 그리고 성령에 의..

교리 자료 2023.12.27

도르트 총회의 역사적인 배경과 의미

도르트 총회의 역사적인 배경과 의미 (도르트신경 400주년 기념 논단) 박상봉 교수 (2018.4.11) 호마루스 중심의 목회자들은 1611년 알미니안누스의 입장을 반대한 ‘반항의서’로 반격했고 그 핵심은 “예수 그리스도는 오직 선택된 사람들을 위해 죽으셨고, 하나님의 은혜는 불가항력적 이며 그리고 믿음은 잃어 버릴 수 없다”는 것이다 도르트 총회는 알미니안주의의 오류를 정죄했다는 것만 아니라 4세기 펠라기우스 이래로 논쟁이 지속된 하나님의 절대주권에 근거한 구원, 교회, 신자의 삶이 명백히 규명되었다는 데 더 큰 의의가 있다 신성로마제국의 부르고뉴(Bourgogne) 영토에 속했던 네덜란드에서 칼빈의 신학적인 영향력은 1540년대 이래로 인적교류, 제네바 아카데미, 서적보급, 서신교환 등을 통해서 지속..

교리 자료 2023.12.20

[전문] 도르트 신조 (1619년)

[전문] 도르트 신조 (1619년) 첫째 교리: 하나님의 선택과 유기(遺棄/버림) 제 1 장 모든 인간은 아담 안에서 범죄 하여 저주 아래 놓여 있으며, 영원한 죽음을 받기에 마땅하므로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버려둔 채 멸망받아 죄값으로 형벌을 받도록 하실 수도 있는 분이신데, 이는 사도의 다음의 말과 같은 것이다.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니라”(롬3:19),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롬 3:23), “죄의 삯은 사망이요”(롬 6:23). 제 2 장 그러나 여기에 하나님의 사랑이 나타났으니,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난 바 되었으니, 하나님이 자기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저로 말미암아 우리를 살리려 하심이니..

교리 자료 2023.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