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고백 2

공적 신앙고백의 전수와 ‘설교’

공적 신앙고백의 전수와 ‘설교’ 기독교개혁신보 (2015.8.25) 일반적으로 조직교회의 형태를 분류함에 있어서 ‘로마가톨릭’은 그야말로 가시적인 로마가톨릭교회조직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사제들의 양성 또한 중앙집권적으로 일사분란하게 이뤄진다. 반면에 그러한 조직의 형태를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회중교회’ 혹은 ‘재세례파(Believer’s Church라고도 한다)’의 경우에는 그와는 정반대로 회중의 원하는 바에 부합하는 목회자를 자체적으로 결정하여 세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장로교회들의 경우에 지교회의 목사를 세우는 것은 노회와 지교회의 의사가 절충되는 형태인데, 마치 로마가톨릭의 체제와 회중교회의 체제가 절충된 듯한 모양새를 보인다. 물론 그러한 장로교회의 모양새는 두 체제를 절충한 것이 아니..

언약도 신앙고백과 서명 (실질적 원본)

언약도 신앙고백과 서명 교회 개혁자 요한 칼빈(John Calvin)과 요한 낙스(John Knox)의 영향으로 스코틀랜드 장로교회가 탄생했다. 그러나 국왕 챨스 1는 왕권신수설(Divine Right of Kings)을 주장하면서, 국왕은 국가의 머리인 동시에 교회의 머리라고 칙령을 내리고 로마 카톨릭으로 복귀하려 했다. 이에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성도들은 국왕의 칙령에 항거하고 교회의 머리는 국왕이나 카톨릭의 교황이 될 수 없고,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뿐임을 주장하여 모진 박해가 시작되자, 순교적 각오로 1,200명의 성도들은 에딘버러 그레이프라이어스 교회당 뜰에 모여 1638년 2월28일에 국가언약(National Covenant of Scotland )식을 하고 신앙고백을 한 후 서명을 했다. (a..

기타 자료 20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