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저주론 2

[출 20:5~6] 죄로 인한 저주를 3~4대까지 받는지에 관한 대화

대화 출처: https://open.kakao.com/o/g7UYmxQe (오픈채팅: 기독교인들의 교제와 성경대화) (채팅 특성상 즉석에서 오고 간 대화라 더 부족함이 있는 점 참고하셔서 유익이 되길 바랍니다.) ​ ​ [출 20:5~6] 죄로 인한 저주를 3~4대까지 받는지에 관한 대화 (2018.10쯤) 무명: 죄로 인한 저주를 3~4대까지 받나요?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나 네 하나님 여호와는 질투하는 하나님인즉 나를 미워하는 자의 죄를 갚되 아버지로부터 아들에게로 삼사 대까지 이르게 하거니와 나를 사랑하고 내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는 천 대까지 은혜를 베푸느니라" [출애굽기 20:5~6] 기독교(Sola): 위 말씀은 문자 그대로가 아니라 '예수님을 믿는 한 가족의 모형'으로..

신앙 대화 2024.04.08

조직신학적 입장에서 본 가계저주론 비판

조직신학적 입장에서 본 가계저주론 비판 김향주 목사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미국의 자유주의는 교회와 신학교들을 황폐하게 만들었다. 날로 교회를 다른 단체에 팔아 넘기게 되고 신학교는 자유주의를 표방하게 되어 4∼5명의 학생들을 데리고 명맥을 유지하는 신학교도 있었다. 사회는 자꾸만 타락의 늪으로 빠져 들어가고 사람들은 문명에 대한 회의가 깊어만 갔다. 이때 1970년대 대중 심리요법으로 나타난 적극적 사고 방식은 교회에 깊이 침투되어 그것 자체가 복음인 것 같이 느껴졌다. 그러나 교회와 사회의 타락은 깊어만 갔다. 이때 Fallwell 목사의 미국의 도덕 우선주의는 갑자기 1920년대 불어닥친 근본주의 운동을 연상케 했다. 이제 미국 교회는 강해 설교가 그 어느 때 보다도 강한 바람을 몰고 왔다. ..

위험, 이단 등 2023.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