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신앙 53

칼뱅, 교회건설의 첫 삽을 뜨다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3)

칼뱅, 교회건설의 첫 삽을 뜨다   임종구 목사의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3)​임종구 목사/ 푸른초장 교회 (2017.1.19)​​개혁자의 용기가 남아있는가​전 세계가 2017년을 종교개혁 500주년으로 삼고 기념하지만, 유독 스위스는 2019년을 종교개혁 500주년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자신들의 개혁의 출발점을 츠빙글리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의 종교개혁이 루터교회로 귀결되고, 스위스의 종교개혁이 개혁교회를 태동시켰다는 점에서는 일리 있는 주장이라 생각된다. 이것은 제네바 교회건설의 초기에도 베른식 종교가 제네바에 일방적으로 강요되었다는 점에서 흐름을 같이 한다.​당시 스위스에는 제네바, 쿠어, 코스탄츠, 바젤, 로잔, 시옹 등 6개의 주교구로 나누어져 있었는데 베른은 로잔교구를 흡수하고 제네바..

extra Calvinisticum이라는 용어와 그 함의에 대해서

extra Calvinisticum이라는 용어와 그 함의에 대해서​이승구 교수 (2013.10.12)​​오늘 한국개혁신학회가 모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대한 논의들을 했습니다. 논의 과정에서 extra Calvinisticum 이라는 용어와 그 함의에 대한 질문들이 있었습니다. 이는 "칼빈주의 신학이 말하는 '밖에서'(extra)"라는 뜻으로 그리스도의 신성을 그리스도의 인성 밖에서도 존재하시며, 인성이라는 유한은 무한(신성)을 다 가둘 수 없어서 신성을 인성 밖에서도 존재하시며 작용하신다는 뜻입니다. 이는 성찬론에 지대한 의미를 지니는 말입니다.​이를 설명하는 예전에 쓴 글의 한 부분을 여기 붙여 드립니다:​​​개혁신학이 이렇게 가장 성경적이려고 하면서 공교회의 신조에 충실하..

정통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언약의 통일성

정통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언약의 통일성​김영규 목사 (2013년경)​​그리스도의 만족교리가 점점 더 파괴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헤르만 바빙크의 역사적 진단에 귀를 기울어야 한다. 즉 "그리스도가 모든 인간들을 위해 죽으시되 그들 편에서의 신앙과 회심의 조건 위에서 죽으셨다 하는 아미랄두스(Amiraldus)의 가설적 보편주의가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 많은 장로교 학자들 사이에도 동의를 얻게 되었고, 용서는 독특하게 그리스도의 만족에 의존하였던 것이 아니라, 그의 귀감적인 고난에서 그것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창조하였다고 하는 그로티우스(Grotius)의 이론에 길을 준비하였으며 웨슬레적인 아르미니안주의에서 뿐만 아니라,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들에 의해서 성경적이고 바르다고 포용되었다"는 점이다. 그와같이 코케..

'하나님의 큰 일' 일부 요약 (헤르만 바빙크)

'하나님의 큰 일' 일부 요약 (헤르만 바빙크) 닉네임: 단추구멍 (2011년 추정)  제1장 최고선(最高善) 1. 하나님은 인간의 최고선  인간의 최고선은 하나님이시요, 하나님뿐이시다. 일반적으로 하나님이 모든 피조물들의 최고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하나님이 만물의 창조자이시며 보존자이시며, 모든 존재와 모든 생명의 근원이시고, 모든 선한 것들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모든 피조물들은 매 순간마다 영원하고 유일하시며 어디에나 계시는 존재이신 하나님에게만 의존하고 있다.   2. 하나님을 떠난 인간 1)타락한 인간, 인간의 비참함과 잔존하는 하나님의 선물   인간은 처음부터 하나님의 모양과 형상에 따라 창조되었고, 그의 신적 기원과 신적 유사관계를 지워버리고 파괴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는 그런 하..

제네바 교회와 신앙교육

제네바 교회와 신앙교육 칼뱅의 제1차, 제2차《신앙교육서》를 중심으로 안상혁 역사신학 조교수 / 정암 신학강좌 발표 (2014.11.11)  I. 서론  칼뱅은 《제네바 신앙교육서 (교리문답서) Catechismus Ecclesiae Genevensis》를 그의 제네바 종교개혁에 있어 중심적인 위치에 자리매김 하였다. 신앙교육서에 대한 칼뱅의 강조는 “하나님의 교회는 신앙교육서 없이는 결코 보존되지 못할 것이다”라고 말한 그의 진술 속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1541년, 칼뱅이 제네바로 돌아와 줄 것을 간청하는 시의회는 앞으로 신앙교육과 권징을 성실하게 실천할 것을 약속한 후에야 비로소 칼뱅의 허락을 얻어 낼 수 있었다. “과연 어떤 역사적 배경에서 칼뱅은 《신앙교육서》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그 목적은..

낭트 칙령 (7-6) (교회개혁사 마지막회)

제 7장. 프랑스에서의 개혁운동 7.6 낭트 칙령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8.3.5)  왕이었던 샤를르 9세는 무능하여 그가 왕위에 있던 1574년까지 프랑스는 혼란한 때였다. 그는 1574년 24세의 나이로 간헐적인 발작증 등 정신 이상으로 사망하였다. 이제 왕위는 앙리 3세에게로 이양되었다. 그는 1574년부터 1589년까지 15년간 왕위에 있었으나 우둔하고 유흥과 쾌락을 즐기는 불량아였다. 그는 한 광신적 수도사에 의해 피살되므로써 발로이스왕가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이제 왕위는 나바르의 앙리에게로 돌아갔다. 그는 케더린의 딸 마가렛의 남편으로서 위그노였다. 성 바돌로매의 날 대학살에서 살아남은 그는 이제 36세의 장년이었다. 그가 앙리 4세란 이름으로..

앙리2세 치하의 개혁운동 (7-3)

제 7장. 프랑스에서의 개혁운동 7.3 앙리2세 치하의 개혁운동 1)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8.3.5)  프란소와 1세는 1547년 3월 31일 사망하였다. 그의 아들 앙리 2세(Henry Ⅱ, 1519~1559, 재위기간은 1547~1559)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그는 아버지의 정책을 계승하여 프로테스탄트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잔인한 박멸정책을 폈다. 그는 파리의회에 특별법정, 곧 종교재판소를 설치했는데 이 법정은 흔히 ‘불타는 법정’(샹브르 아르당뜨, chambre ardente, burning courts, 1547)이라고 불릴 만큼 잔인한 것이었다. 그의 잔인한 탄압을 보여주는 한 가지 단적인 예가 1551년에 발표된 샤또브리앙(Chateaubr..

스코틀랜드의 정치, 종교적 배경 (6-1)

제 6장.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 6.1 스코틀랜드의 정치, 종교적 배경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8.1.30)  지금까지 우리는 독일, 스위스, 영국(잉글랜드) 등지에서 일어난 교회개혁운동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제부터는 잉글랜드 북쪽에 있는 스코틀랜드에서 일어난 교회개혁운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은 후일 장로교로 발전하였고 그 개혁운동이 세계 장로교회의 원류가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널리 알려진 바이지만 스코틀랜드 개혁운동, 곧 장로교 신앙운동은 후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지로 전파되어 그 곳에 장로교회가 세워졌고 또 미국, 호주, 캐나다 장로교회는 1880년대 이후 한국에 선교사를 파송함으로써 ..

교회 정치 2025.01.28

에드워드 6세 치하에서의 개혁 (5-3)

제 5장. 영국에서의 개혁운동  5.3. 에드워드 6세 치하에서의 개혁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9.11)  헨리 8세가 사망하자 그의 외아들 에드워드는 아버지를 이어 1547년 1월 왕위에 올랐다. 그는 1537년 10월 12일 생이었으므로 그의 나이 꼭 아홉 살 때 왕위에 오른 것이다. 이 때로부터 그는 1553년까지 꼭 6년간 재임하였다. 어릴 때부터 병약했던 그는 1553년 그의 나이 16세 때 사망하므로 그의 통치는 길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매우 진지하고도 사려깊은 조숙한 어린이었으며 분별력과 판단력의 소유자였다. 그의 통치 기간 중에 많은 분야에 개혁이 이루어졌으므로 개혁자들은 그를 ‘어린 요시아’ 혹은 ‘ 새로운 요시아’(New Josiah)..

스트라스부르크에서의 칼빈 (1538~1541) (4-5)

제 4장. 칼빈과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5. 스트라스부르크에서의 칼빈 (1538~1541)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5.25)  칼빈이 스트라스부르크에 도착했을 때는 1538년 9월이었다. 이때로부터 1541년 8월까지 만 3년간 칼빈은 스트라스부르크에서 활동하였다. 이 기간 동안의 칼빈의 삶과 목회, 연구와 저술은 그 자신의 생애에 실로 엄청난 영향을 주었다. 이 기간 동안의 목회와 연구는 성경에 대한 해박한 이해와 신학적 깊이를 더해주었고 신앙적 성숙과 더불어 보다 원숙한 지도자로 이끌어 갔다. 특히 스트라스부르크에서 부쩌 등 개혁자들과 접촉함으로써 그는 많은 것을 배웠는데, 특히 예배와 교회론의 영역에서 그러했다.  물론 이 3년간의 생활이 칼빈 생..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1536~1538) (4-4)

제 4장. 칼빈과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4.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1536~1538)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5.25)  제네바에서의 칼빈의 활동은 교회에서의 바울서신, 특히 로마서 강해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그는 성직자로 안수 받지 않은 상태였으며1), 그때로부터 1여년 가까이 정규적인 설교자는 아니었다. 단지 그는 파렐을 보좌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래서 제네바 도착 이듬해인 1537년 2월까지는 시의회로부터 어떤 보수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점차 칼빈의 활동과 역할은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곧 그의 뛰어난 신학적 통찰력, 법률가로서의 훈련, 그리고 교회개혁을 위한 불타는 정열은 칼빈을 제네바시 개혁운동의 중심부로 인도하고 있었던..

교회개혁은 왜 일어났는가? (1-3-1)

제 1장 교회개혁이란 무엇인가?  3-1. 교회개혁은 왜 일어났는가?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2.28)  때가 찬 경륜   1400년대를 마감하고 1500년대가 시작되는 한 시대의 변혁기에 유럽에서는 실로 엄청난 정신적 변화가 조용한 혁명을 예비하고 있었다. 이 변화는 매우 복합적인 것이었다. 정치질서나 문화현상, 세계관뿐만 아니라 교회중심의 구조(ecclesiastical structure)는 새로운 개편을 요청하고 있었다. 말하자면 16세기에 접어들면서 로마 가톨릭교회와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던 중세문화가 붕괴되고 서구문명의 새로운 단계의 중요한 양상들이 그 실체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16세기에는 이전 시대와는 선명하게 구별되는 세계관, 인생..

교회개혁의 의의 (1-2)

제 1장 교회개혁이란 무엇인가?  2. 교회개혁의 의의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2.28)   그러면 교회개혁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보여준 의미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교회개혁이란 원시 그리스도교 회복운동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교회개혁이란 그리스도 교회의 본래적인 신앙과 생활에서 이탈한 중세 로마 가톨릭교회의 형식화된 의식적 생활에서 떠나 이탈한 중세 로마 가톨릭교회의 형식화된 의식적 생활에서 떠나 본래적 기독교 혹은 사도적 교회에로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즉 하나님의 말씀에서 떠난 성례적적인 제도(Sacramental system)와 공적(功績)사상 등 교회적 율법주의(Ecclesiastical legalism)와 비복음적인 전통에서 벗..

교회개혁의 이해 (1-1)

제 1장 교회개혁이란 무엇인가?  1. 교회개혁의 이해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2.28)  -- 16세기 종교개혁의 역사를 간명하게 기술한 교회개혁사는 루터, 쯔빙글리, 칼빈, 존 낙스 등의 종교개혁자들의 교회개혁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앞으로 매주 단위로 책의 내용을 차례로 연재할 것이다. --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 대학의 젊은 신학 교수였던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가 그곳의 대학교회의 문 앞에 95개항의 논제(Die 95 Thesen)를 내건 사건은 16세기 교회개혁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 루터는 면죄부 판매 등 당시 교회가 가르치는 잘못된 주장들에 대해 학문적인 토론을 열 계획이었지 교회개..

한국의 개혁교회가 추구할 것

한국의 개혁교회가 추구할 것 김영규 교수 (2014.1.28)  “완성된 개혁주의 신학은 신학적 논제에 대한 모든 답변 가지고 있어” 정통개혁신학은 17세기 이후에는 거의 사라졌다고 해야 한다. 따라서 개혁신학과 관련해서 그 이후 시대로부터 배울 것은 없다. 그 이후 시대에는 다만 그렇게 개혁된 신학과 얼마나 일치하느냐에 달려 있다. 칼빈의 신학은 개혁신학의 출발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칼빈의 신학이 개혁신학으로서 의미를 갖는 것은 그의 신학이 루터의 신학과 같은 종교개혁신학을 받아들이되 ①루터의 신학에 있어서 로마카톨릭 신학에 의해서 타락한 부분들을 제거한 어거스틴의 순수한 신학의 회복에 기여하지 못한 부분이나 ②어거스틴의 신학에 있어서 카톨릭 신학으로부터 타락의 원인이 되었던 부분들을 제거한 신학적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