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조 3

공적 신앙고백의 전수와 ‘설교’

공적 신앙고백의 전수와 ‘설교’ 기독교개혁신보 (2015.8.25) 일반적으로 조직교회의 형태를 분류함에 있어서 ‘로마가톨릭’은 그야말로 가시적인 로마가톨릭교회조직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사제들의 양성 또한 중앙집권적으로 일사분란하게 이뤄진다. 반면에 그러한 조직의 형태를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회중교회’ 혹은 ‘재세례파(Believer’s Church라고도 한다)’의 경우에는 그와는 정반대로 회중의 원하는 바에 부합하는 목회자를 자체적으로 결정하여 세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장로교회들의 경우에 지교회의 목사를 세우는 것은 노회와 지교회의 의사가 절충되는 형태인데, 마치 로마가톨릭의 체제와 회중교회의 체제가 절충된 듯한 모양새를 보인다. 물론 그러한 장로교회의 모양새는 두 체제를 절충한 것이 아니..

★책- 교회사적으로 엮어낸 신앙 고백집

교회사적으로 엮어낸 신앙 고백집 (편집: 김향주) 교회사적으로 엮어낸 신앙 고백집 : 네이버 통합검색 '교회사적으로 엮어낸 신앙 고백집'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Ⅰ. 고대 신조 1. 사도신조 2. 니케아 신조(325) 3.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381) 4. 칼케돈 신조(451) 5. 아타나시우스 신조 Ⅱ. 종교개혁 신앙고백서 1. 제네바 교리문답서(1542) 2. 프랑스 신앙고백서(1559) 3.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1560) 4. 벨직 신앙고백서(1561) 5.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1563) 6. 제 2 스위스 신앙고백서(1566) 7. 도르트 신조(1619) Ⅲ.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1647) 2. 웨스트민스터 대요리 문답(..

기타 자료 2023.04.19

정통신앙의 기준에 대하여

대화 출처: https://open.kakao.com/o/g7UYmxQe 정통신앙의 기준에 대하여 기독교 (Sola) (2018년) 정통신앙의 기준이란 교회 역사적으로어느 특정인의 주관적인 신학적 입장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교회에서 공통적으로 고백했고 받아들여온 객관적 기준인 공교회의 신조(신앙고백) 및 교리들을 그대로 이어가는 신앙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가령, 신조들중 약 500년까지로 불리는 고대신조로는 초대교회부터 고백해온 사도신경과 삼위일체에 대해 짧게는 200년, 길게는 500년간의 회의 끝에 정립한 삼위일체에 대한 개념을 잘 정리한 신조들인 가령 아타나시우스 신조, 칼케돈 신조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1천년간의 교회 암흑기를 거쳐 종교개혁시대에 그것을 그대로 이은 프랑스 신앙고백서 ..

신앙 대화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