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 6

진정한 종교개혁의 의미 (절기예배 등 개혁)

진정한 종교개혁의 의미   임진남 목사 (2016.10.13)  2016년 10월 31일은 세계교회가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날이다. 한국교회도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들을 수많은 단체들을 통해 하고 있다. 그렇다면 종교개혁을 기념한다고 할 때 그 의미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개혁교회 안에서 개혁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타락하고 부패한 마음은 잠시 동안 나두게 되면 금방이라도 인간적인 종교성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님의 교회는 인간의 타락이라고 하는 문제에 늘 직면하게 되기 마련이다. 그래서 존 헤세링크가 말했듯이 “개혁된 교회는 계속해서 개혁되어야 한다”.는 슬로건은 오늘날 현대교회에서도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오..

맥추절, 과연 신약교회가 지켜야 할 절기인가?

맥추절, 과연 신약교회가 지켜야 할 절기인가? 손재익 목사 / 한길교회 (2015.6.10) 맥추절을 지키는 한국교회 매년 7월 첫 주가 되면 한국의 많은 교회들이 ‘맥추감사주일’을 지킨다. 한국교회가 주로 지키는 맥추감사주일은 구약의 3대 절기 중 하나인 ‘맥추절’을 근거로 두고 있다. 성경에 보면 구약시대에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3대 절기가 있었는데, 그것은 유월절(무교절), 맥추절(칠칠절, 오순절), 장막절(수장절)이다(출 23:14-16; 34:18-22; 레 23장; 신 16장). 여기에 근거하여 매년 맥추감사주일을 교회의 절기로 지키고 있는 것이다. 유월절이나 장막절은? 그렇다면 여기에서 한 가지 의문이 든다. 왜 유월절과 장막절은 지키지 않는가? 맥추절을 지키는 이유가 구약의..

부활절의 유래 (절기 폐지)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x2Tzbos9b0&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23 부활절의 유래 임경근 목사 ‘이스터(Easter)’? 영어권에서 부활절을 ‘이스터’(Easter)라고 부른다. 무슨 뜻인지 분명하지 않다. 언제부터 부활절을 이렇게 부른 것일까? 역사가들은 기독교의 주도권이 로마에서 게르만족으로 넘어가면서 게르만족의 토착신앙과 만나 생겨난 것으로 본다. 게르만족은 기독교를 받아들이긴 했지만, 토착 종교를 완전히 버리지 못했다. 그들의 삶 뼛속 깊숙이 스며든 토착종교를 버리지 못하고 기독교 문화와 융화시킨 것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부활절이다. 그들은 봄이..

오디오 칼럼 2024.03.13

추수감사주일을 지키지 말아야 할 이유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C4m2wj7FqI 우리교회가 지난 주일에 추수감사주일을 지키지 않은 이유에 대해 손재익 목사 -시편 138편 설교를 통해서 설명함 1절을 보시면 “내가 전심으로 주께 감사하며”라는 말로 시작해서 찬송하리이다 예배하며 감사하오리니 라는 말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말씀에 의하면, 예배는 감사입니다. 그렇습니다. 예배의 근거는 하나님의 찾아오심에 대한 감사입니다. 하나님이 행하신 일에 대한 감사입니다. 이런 점에서 모든 예배는 감사예배입니다. 마치 모든 찬송이 감사찬송이요 영광찬송이듯이, 모든 예배가 감사예배요 영광예배입니다. 그렇지 않은 예배는 예배가 아닙니다. 만약 우리의 예배에 감사가 빠져 있..

오디오 칼럼 2023.10.29

추수감사주일을 지키지 말아야 할 이유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C4m2wj7FqI 우리교회가 지난 주일에 추수감사주일을 지키지 않은 이유에 대해 손재익 목사 -시편 138편 설교를 통해서 설명함 1절을 보시면 “내가 전심으로 주께 감사하며”라는 말로 시작해서 찬송하리이다 예배하며 감사하오리니 라는 말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말씀에 의하면, 예배는 감사입니다. 그렇습니다. 예배의 근거는 하나님의 찾아오심에 대한 감사입니다. 하나님이 행하신 일에 대한 감사입니다. 이런 점에서 모든 예배는 감사예배입니다. 마치 모든 찬송이 감사찬송이요 영광찬송이듯이, 모든 예배가 감사예배요 영광예배입니다. 그렇지 않은 예배는 예배가 아닙니다. 만약 우리의 예배에 감사가 빠져 있..

부활절의 유래 (절기 폐지)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x2Tzbos9b0&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23 부활절의 유래 임경근 목사 ‘이스터(Easter)’? 영어권에서 부활절을 ‘이스터’(Easter)라고 부른다. 무슨 뜻인지 분명하지 않다. 언제부터 부활절을 이렇게 부른 것일까? 역사가들은 기독교의 주도권이 로마에서 게르만족으로 넘어가면서 게르만족의 토착신앙과 만나 생겨난 것으로 본다. 게르만족은 기독교를 받아들이긴 했지만, 토착 종교를 완전히 버리지 못했다. 그들의 삶 뼛속 깊숙이 스며든 토착종교를 버리지 못하고 기독교 문화와 융화시킨 것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부활절이다. 그들은 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