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모 2

묵념에 관한 대화

대화 출처: https://open.kakao.com/o/g7UYmxQe (오픈채팅: 기독교인들의 교제와 성경대화) (채팅 특성상 즉석에서 오고 간 대화라 더 부족함이 있는 점 참고하셔서 유익이 되길 바랍니다.) ​ ​ 묵념에 관한 대화 ​(2018.10쯤) ​ ​ 역사사회LOVE: 제사지낼때 고개숙이는것,절 우상숭배인데 나라를위해 죽은위인들에게 묵념하는것은 우상숭배 아닌가요? 기독교(Sola): 맞습니다. 우상숭배에 해당됩니다. 제사 지낼 때뿐 아니라 묵념을 하면 안 됩니다. 우선 묵념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묵념 (표준국어대사전) : 말없이 마음속으로 빎. 주로, 죽은 이가 평안히 잠들기를 기원하는 뜻으로 한다. 제7조(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 방법) ① 묵념은 바른 자세로 눈을 감고 ..

신앙 대화 2024.01.02

추도예배의 죄와 세배 금지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aAF4CVKVPE&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18 개혁주의 교회는 추도예배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김만옥 목사 (2019.01.27) 한국교회는 샤머니즘적인 조상제사가 제거되어야 했지만 안타깝게도 ‘기능적 대치’로 추도예배를 하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교파를 초월해서 사실상 한국의 다수의 교회들이 명절과 기일에 추도예배를 행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교회 역사에서 어떻게 추도예배가 자리를 잡았는지를 보면 1897년 ‘조선 그리스도인 화보 9월호’에서 최초로 추도예배를 한 자는 이무영(Sola 주: 당시, 궁궐의 정3품 고관이었다 함.)이라는 정..

오디오 칼럼 2023.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