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 73

교회개혁은 왜 일어났는가? (1-3-1)

제 1장 교회개혁이란 무엇인가?  3-1. 교회개혁은 왜 일어났는가?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2.28)  때가 찬 경륜   1400년대를 마감하고 1500년대가 시작되는 한 시대의 변혁기에 유럽에서는 실로 엄청난 정신적 변화가 조용한 혁명을 예비하고 있었다. 이 변화는 매우 복합적인 것이었다. 정치질서나 문화현상, 세계관뿐만 아니라 교회중심의 구조(ecclesiastical structure)는 새로운 개편을 요청하고 있었다. 말하자면 16세기에 접어들면서 로마 가톨릭교회와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던 중세문화가 붕괴되고 서구문명의 새로운 단계의 중요한 양상들이 그 실체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16세기에는 이전 시대와는 선명하게 구별되는 세계관, 인생..

개혁주의 교회는 종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무천년설)

개혁주의 교회는 종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김만옥 (2019.10.8)  한국교회가 이 사회로부터 무시와 조롱 그리고 냉대를 당하게 된 결정적 배경에는 이단(Heresy)인 다미선교회의 ‘휴거’ 소동을 일으킨 사건(1992년 10월 28일)으로 한국교회에 깊게 자리 잡은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의 위험성을 잘 보여준 비극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말의 신학적, 사회적 문제는 그 당시로만 끝난 것이 아니라 지금도 진행(ing) 중이기에 인터넷과 유튜브의 동영상을 보면 쉽게 찾아 읽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아직도 이러한 거짓 신학 사상에 놀아나고 주장하는 목사들과 신자들이 많은 것에 한국교회는 신학적 반성이 필요하고 특히 개혁주의 교회를 추구하면서 비성경적이고 비신학적인 ‘휴거’를 주장한다면 반드시 ‘..

한국의 개혁교회가 추구할 것

한국의 개혁교회가 추구할 것 김영규 교수 (2014.1.28)  “완성된 개혁주의 신학은 신학적 논제에 대한 모든 답변 가지고 있어” 정통개혁신학은 17세기 이후에는 거의 사라졌다고 해야 한다. 따라서 개혁신학과 관련해서 그 이후 시대로부터 배울 것은 없다. 그 이후 시대에는 다만 그렇게 개혁된 신학과 얼마나 일치하느냐에 달려 있다. 칼빈의 신학은 개혁신학의 출발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칼빈의 신학이 개혁신학으로서 의미를 갖는 것은 그의 신학이 루터의 신학과 같은 종교개혁신학을 받아들이되 ①루터의 신학에 있어서 로마카톨릭 신학에 의해서 타락한 부분들을 제거한 어거스틴의 순수한 신학의 회복에 기여하지 못한 부분이나 ②어거스틴의 신학에 있어서 카톨릭 신학으로부터 타락의 원인이 되었던 부분들을 제거한 신학적 관..

스코틀랜드와 영국혁명

스코틀랜드와 영국혁명 박세환 총신대대학원 박사과정   최근에 영국혁명사 연구에 괄목한 발전은 영국혁명의 발생원인과 진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양상를 규명하면서 스코틀랜드가 수행한 역활을 중요시하고 하고 있다. 17세기의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역사를 공부하게 되면, 찰스I세에 항거한 이유를 찰스I세의 종교정책의 일환인 영국의 예배서(The Enhlish Prayer Book)를 스코틀랜드에서 사용하도록 강요한 것을 반대로 인하여 일어났다고 본다. 이 사건으로 찰스I세는 두 차례나 스코틀랜드와의 전쟁하여 연패를 당하게 되자 자신의 권위와 황실의 위신을 회복하기 위해서 영국에서 단기의회와 장기의회를 소집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더욱이 패권을 만회하기 위해서 찰스는 의회에 전비를 충당하기 위해서 과세의 동의를..

워필드 박사의 투지

워필드 박사의 투지 김대운 목사 / 경성교회(수원) (2019.10.2)   1870년 11월 6일 프린스턴 신학교, 맥코쉬 교수의 오후 강의 중 우리의 유명한 B.B워필드 학생이 강의 내용을 노트하기 보다는 같은 반 친구인 제임스 스틴의 모습을 과도하게 희화한 그림(원문 그대로 번역하면, 과도하게 무례한 그림)을 그렸는데, 학생들이 그 그림을 돌려서 보게 됩니다. 결국 이 일로 두 청년은 프린스턴 신학교의 채플 앞에서 주먹 다짐을 하게 됩니다. 물론 크게 다치진 않았지만, 이 사건으로 워필드는 "The pugilist", 권투선수라는 별명을 얻게 됩니다. 3대 칼빈주의자 중의 하나로 꼽히는 워필드 박사의 별명이 권투선수였다니....너무 재미있네요. ​이 사건에서 보여준 워필드의 투지는 이후에도 나타납니..

사도신경 형성 배경

사도신경 형성 배경 손봉호 교수 / 옮긴이: 개혁신앙  1. 시작하는 말 우리가 지금 고백하고 있는 사도신경(使徒信經)은 어떤 사람이 만들어 낸 것도 아니고 어떤 공의회에서 의도적 인위적으로 제정한 것도 아니다. 그것은 성경의 가르침을 분명하고 핵심적으로 요약해서 젊은이들과 새로 믿는 사람들을 교육하고, 비기독교 사상으로부터 기독교를 변증하며, 나아가서 이단으로부터 성경적 기독교를 보호하기 위한 초대교회의 시도(試圖)가 요랜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결정(結晶)된 것이다.그러나 사도신경의 형성(形成) 과정을 단순히 역사적으로만 설명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 신앙고백이 신구(新舊) 기독교의 공통적인 신앙고백으로 남아 있게 된 것은 분명히 성령의 역사라고 믿어야 할 것이다. 특히 사도신경이 형성될 즈음 미사가 ..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1645)의 주일예배 순서에는 왜 ‘사도신경’이 빠져 있는가?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1645)의 주일예배 순서에는 왜 ‘사도신경’이 빠져 있는가? 장대선 목사 (2017.12.9)  현대의 기독교(개신교) 신앙에서 ‘교리’에 대한 입장은 극명하게 양분되는데, 반드시 교리에 근거하여 신앙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 있는가 하면 교리는 오히려 논쟁과 분열을 야기하므로 최소한의 선에서만 통용되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 있다. 그런데 교리를 신앙에 있어 최소한으로 국한하고자 했던 분들이 공히 예배 중 고백하는 ‘사도신경’(The Apostles' Creed)으로 한정하는 교리의 사용을 지향해 왔다가, 최근에는 이 조차도 생략하려는 생각을 꾸준히 타진하고 있다. 이런 형편 가운데서 필자는 오래 전부터 사도신경으로 국한된 교리의 사용이 아니라, 최소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개혁파 정통신학 서론 수업 중 (한병수 교수)

한병수 교수의 개혁파 정통신학 서론(Reformed Orthodoxy Theology: Prolegomena) 수업 중에서 김진곤 목사 정리 (2018.3.27)  개혁주의 신학의 본질 (Essentia reformati theologiae) 1. Sola et tota scriptura : 가장 성경적인 신학 a. 성경에 기록된 것은 한 오타도 간과하지 말아야 하는 하며(tota), 동시에 성경의 기록은 인간의 욕망과 호기심을 따라 함부로 범하지 말아야 하는 침묵의 경계선(sola).b. 성경에 언급되지 않은 것에 대한 입장c. 성경이 성경을 해석하는 원리 (Scriptura sui ipsius interpres)d. 칼빈의 tota scriptura : 전 성경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강조e. 삼위일체 ..

[교회사 산책 11] 부패한 시대 속에서 교회의 순결

교회사 산책 (11) 부패한 시대 속에서 교회의 순결 닉네임: 나그네 / 칼빈장로교회 (2019.11.2)  - 부패한 시대 속에서 교회의 순결 기독교 신앙이 한 시대 속에서 최적의 조건과 상태를 만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반변에 기독교 신앙의 최악의 시대 또한 불가능하다. 어느 시대든 진정한 의미에서 교회를 위한 최선의 시대라 할 수 있다. 고대 사회와 이교도의 융성 속에서 교회가 가진 정체성과 무슨 가치들을 남겼는지 살펴보는 배움을 갖도록 하자.  1. 로마 제국의 시대상 그리스도의 교회가 지상에 뿌리를 내리는 시기에 이교 문명과 로마 제국은 절정을 구하하고 있었다. 아우구스투스 재위 기간은 이교 문학의 황금기라고 한다. 통일된 제국 정부 아래에서 질서가 확립되었고 바다의 해적들이 소탕되고, 제국 내의..

[교회사 산책 9] 기독교 예배에 대하여

교회사 산책 (9)  기독교 예배에 대하여닉네임: 나그네 / 칼빈장로교회 (2017.6.12)  1. 고대 교회와 예배의 질서에 대하여 니케아 이전 고대 교회는 환영받지 못한 종교였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드러내기 힘든 환경이었다. 당시의 여러 가지 정황들을 오늘날과 비교해가며 살펴보면 더 유익이 있을 것이다. (1) 예배처소 : 2세기 말까지는 대부분 개인 집이나 광야, 순교자 묘지, 카타콤 토굴에 모여 예배를 드렸다. 탄압때문이기도 하지만 당시 통상적으로 신전이 가지는 이교적 형상들이나 장식들에 대한 거부감도 한 몫 했다. 장소에 대한 제한도 없었다. 순교자 유스티누스는 “그리스도인들은 어디든 편리하다고 생각되면 그곳에 모였다. 왜냐하면 그들의 하나님은 이교의 신과 달라서 공간에 갇히는 법이 없고 어디든..

[교회사 산책 8] 초기 기독교 조직과 권징 2

교회사 산책 (8)  초기 기독교 조직과 권징 2닉네임: 나그네 / 칼빈장로교회 (2017.3.20)  1. 하나의 거룩한 보편적. 사도적 교회(the One Holy Catholic Apostolic Church) 이것은 사도 신경에 ‘거룩한 공회’(the Holy Catholic Church)에 대한 원리적이고 더 확고히 진전된 설명이다. ‘카톨릭’이라는 용어가 지금은 로마카톨릭 우리말로 ‘천주교’에 국한된 용어처럼 고정되었다. 하지만 초기에 사용된 ‘카톨릭’이라는 용어는 교회론에서 매우 중대한 개념이다. 영국 국교회는 ‘카톨릭’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해석을 전(前) 교황적, 반(反) 교황적으로 사용했다. 루터 교리문답은 ‘기독교적 (교회)’로 바꿨다. 왜 이 용어에 대해서 민감했을까? 그리스도의..

[교회사 산책 4] 사도 시대 교회의 직분

교회사 산책 (4) 닉네임: 나그네 / 칼빈장로교회 (2016.5.22)  오늘날 사도 시대의 교회 체제에 대하여 많은 다양한 견해들이 있다. 하지만 전체 교회 역사를 놓고 보았을 때 지금으로부터 3-4세기 전에 다양한 교파가 형성되었을 뿐이다. 이전까지는 교황제 아래에서 다른 어떤 관점을 갖기 어려웠다. 그러나 우리는 장로회 정치가 다른 어떤 교파들 심지어 로마교의 체제보다도 초기 교회의 그것과 밀접하고 일치한다고 믿는다. 우리가 교회사를 살피는 목적은 교회의 전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섭리를 읽으며 동시에 장로교회의 성경적 기원을 마음에 더 확고히 하기 위해서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의 신앙이 교회의 신앙이어야 하고 그 교회의 신앙이란 사도들의 교회의 그것과 잇대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한..

[교회사 산책 3] 그리스도의 오심

교회사 산책 (3) 닉네임: 나그네 / 칼빈장로교회 (2016.5.22)  1. 그리스도의 오심 그리스도의 탄생 연대에 대해서 완전한 정보가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현재 서기력 B.C.4년경이라는데 대체로 동의한다. 탄생일에 대해서도 목자들이 들에서 양떼를 지키던 계절(눅2:8)에 착안할 때 현재 알려진 겨울철이라는데 완전한 근거가 되지 못한다. 그 지역의 목축의 시기는 3월에서 11월까지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그리스도의 공생애 기간 3년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의견들이 많다. 그러나 십자가에 죽으신 성 금요일과 부활하신 주일만큼은 확고부동하다. 이처럼 불확실한 부분들이 많은 이유는 그것이 기독교 신앙에 결정적이지도 않고 더욱이 어떤 특정한 날이 기억됨으로써 오히려 신앙의 의식화나 미신화로 ..

[교회사 산책 2] 그리스도가 오시기 전 유대 땅의 정치적 종교적 상태

교회사 산책 (2) 닉네임: 나그네 / 칼빈장로교회 (2016.5.22)  1. 그리스도가 오시기 전 유대 땅의 정치적 종교적 상태 1.1 서양력에 따라 A.D.(Anno Domini)와 B.C.(Before Christ)로 나누는 역법은 기독교 정신에서 비롯되었다. 그리스도가 탄생하시기 전의 인류 역사는 그분의 오심을 위한 준비이고, 그 후의 역사는 그의 나라가 전진하는 과정이라고 볼 때 그리스도는 모든 인류 역사의 중심점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성경이 말하고 있는 교회의 역사는 이민족과 하나님의 백성들 사이에 구별을 아브라함을 필두로 해서 새로운 출발점을 갖는다. 애굽 땅에서 민족을 형성하게 되고, 출애굽하여 광야에서 신정국가의 틀이 되는 율법을 받아 40년을 훈련받다가 여호수아에 의해 약속의 땅으..

[교회사 산책 1] 기독 교회사를 공부하는 이유

* 본 내용은 주일 오후 교우들과 공부하는 교회사 내용이다. 필립 샤프의 교회사를 텍스트로 삼아 에피소드 중심으로 간략하게 요약한 내용이다. 현재도 진행 중이다(2016년5월) 교회사 산책 (1) 닉네임: 나그네 / 칼빈장로교회 (2016.5.22)  1. 기독교회사를 공부하는 이유 기독교인들에게 ‘역사’란 기본적으로 ‘하나님의 역사’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그분에 의한, 그분을 위한, 그분을 향한 길이다. 지난 이천년까지의 하나님의 역사는 성경계시로 충분하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그 어떤 기록도 성경이 주는 유익 그 이상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성경이 종결된 이후 하나님의 역사는 교회 역사를 통해서 드러나고 정리되고 있다. 따라서 교회 역사는 오늘 우리 교회 상태에 대한 열쇠이며, 미래 교회를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