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 88

왜 프로테스탄트를 받아들였나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2)

왜 프로테스탄트를 받아들였나 임종구 목사의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2) ​임종구 목사 / 푸른초장교회 (2017.1.12)​​1536년은 칼뱅과 제네바에 있어 매우 중요한 해이다. 먼저 칼뱅이 바젤에서 초판을 출판했고, 제네바는 복음을 따라 살기로 모든 시민이 결정한 해이기 때문이다. 제네바는 스위스 도시들 가운데서 가장 마지막으로 복음을 받아들인 도시 중 하나이다. 스위스에서는 취리히(1524)가 가장 먼저 복음을 받아들였고, 이어서 베른(1528) 바젤(1529) 뇌샤텔(1530) 제네바(1536)로 이어진다.​중세시대에 야만족을 대상으로 선교할 때 한 도시, 한 민족이 돌아오는 집단적 회심이 일어났다. 종교개혁시대의 회심 역시 개인적이라기보다는 여전히 집단적, 제도적 회심이었다. 이것이 제국에..

칼뱅과 제네바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1)

칼뱅과 제네바 임종구 목사의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1)​임종구 목사 / 푸른초장교회 (2017.1.6)​​순종의 신앙 없으면 개혁은 멀다​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의미 깊은 해에 개혁신앙의 원천인 칼뱅이 목회했던 제네바교회와 특별히 칼뱅이 회장으로 활동했던 제네바 목사회(The Company of Pastors in Geneva)에 대해서 소개할 수 있게 되어 감사하게 생각한다.​존 녹스는 “제네바는 사도들의 시대 이후 가장 완벽한 그리스도의 학교다. 다른 지역들에게도 그리스도가 참되게 선포되지만, 이 도시처럼 생활과 신앙이 참되게 개혁된 곳을 나는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가 본 제네바는 1556년의 제네바였다. 1536년 칼뱅이 처음 도착했을 때의 제네바는 신생기독교도시에 불과했다..

결혼과 언약: 그리스도인 결혼의 전제조건

결혼과 언약: 그리스도인 결혼의 전제조건 [십계명(59) - 제7계명(4)]​한길교회 주일오후예배 설교문 (2015.4.12)​​설교본문낭독: 창세기 2장 18-25절; 고린도후서 6장 14-18절신조 낭독: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제24장 3절;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제139문답​​서론​언약으로서의 십계명​십계명 강해를 시작한 지 제법 되었습니다만, 십계명을 처음 배울 때에 십계명의 개론적인 내용을 배우면서 십계명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성격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그 때 말씀드리기를 십계명을 단순하게 ‘하나님의 명령’으로만 이해해서는 안되고 여러 가지 측면으로 생각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그 중에서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것은 십계명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언약의 말씀’이라는 사실입니다..

extra Calvinisticum이라는 용어와 그 함의에 대해서

extra Calvinisticum이라는 용어와 그 함의에 대해서​이승구 교수 (2013.10.12)​​오늘 한국개혁신학회가 모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대한 논의들을 했습니다. 논의 과정에서 extra Calvinisticum 이라는 용어와 그 함의에 대한 질문들이 있었습니다. 이는 "칼빈주의 신학이 말하는 '밖에서'(extra)"라는 뜻으로 그리스도의 신성을 그리스도의 인성 밖에서도 존재하시며, 인성이라는 유한은 무한(신성)을 다 가둘 수 없어서 신성을 인성 밖에서도 존재하시며 작용하신다는 뜻입니다. 이는 성찬론에 지대한 의미를 지니는 말입니다.​이를 설명하는 예전에 쓴 글의 한 부분을 여기 붙여 드립니다:​​​개혁신학이 이렇게 가장 성경적이려고 하면서 공교회의 신조에 충실하..

정통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언약의 통일성

정통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언약의 통일성​김영규 목사 (2013년경)​​그리스도의 만족교리가 점점 더 파괴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헤르만 바빙크의 역사적 진단에 귀를 기울어야 한다. 즉 "그리스도가 모든 인간들을 위해 죽으시되 그들 편에서의 신앙과 회심의 조건 위에서 죽으셨다 하는 아미랄두스(Amiraldus)의 가설적 보편주의가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 많은 장로교 학자들 사이에도 동의를 얻게 되었고, 용서는 독특하게 그리스도의 만족에 의존하였던 것이 아니라, 그의 귀감적인 고난에서 그것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창조하였다고 하는 그로티우스(Grotius)의 이론에 길을 준비하였으며 웨슬레적인 아르미니안주의에서 뿐만 아니라,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들에 의해서 성경적이고 바르다고 포용되었다"는 점이다. 그와같이 코케..

'하나님의 큰 일' 일부 요약 (헤르만 바빙크)

'하나님의 큰 일' 일부 요약 (헤르만 바빙크) 닉네임: 단추구멍 (2011년 추정)  제1장 최고선(最高善) 1. 하나님은 인간의 최고선  인간의 최고선은 하나님이시요, 하나님뿐이시다. 일반적으로 하나님이 모든 피조물들의 최고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하나님이 만물의 창조자이시며 보존자이시며, 모든 존재와 모든 생명의 근원이시고, 모든 선한 것들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모든 피조물들은 매 순간마다 영원하고 유일하시며 어디에나 계시는 존재이신 하나님에게만 의존하고 있다.   2. 하나님을 떠난 인간 1)타락한 인간, 인간의 비참함과 잔존하는 하나님의 선물   인간은 처음부터 하나님의 모양과 형상에 따라 창조되었고, 그의 신적 기원과 신적 유사관계를 지워버리고 파괴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는 그런 하..

그리스도인의 자유 (기독교 강요 요약)

그리스도인의 자유 존 칼빈 / 책: 쉽게 읽는 기독교 강요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세 가지로 이루어진다. 1. 신자는 하나님의 울법을 행하고 순종함으로써 의를 얻으려는 시도를 포기할 때 구원을 확신할 수 있다. 누구도 도덕법의 기준에 따라 의로울 수 없기에 사람은 반드시 율법으로부터 정죄함을 받거나 아니면 자유로워야 한다. 우리는 의의 수단으로서 율법을 취하는 대신 그리스도만을 바라보아야 한다. 이는 우리가 어떻게 의로워질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이떻게 의롭게 여겨질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그러나 율법은 여전히 우리의 삶에서 그 기능을 하고 있다. 즉, 우리의 의무가 무엇인지 알려 주면서 거룩해지도록 이끈다. 2. 그러므로 신자는 의를 이루기 위해 율법을 지키지 않을지라도 자원하는 마음으로 ..

낭트 칙령 (7-6) (교회개혁사 마지막회)

제 7장. 프랑스에서의 개혁운동 7.6 낭트 칙령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8.3.5)  왕이었던 샤를르 9세는 무능하여 그가 왕위에 있던 1574년까지 프랑스는 혼란한 때였다. 그는 1574년 24세의 나이로 간헐적인 발작증 등 정신 이상으로 사망하였다. 이제 왕위는 앙리 3세에게로 이양되었다. 그는 1574년부터 1589년까지 15년간 왕위에 있었으나 우둔하고 유흥과 쾌락을 즐기는 불량아였다. 그는 한 광신적 수도사에 의해 피살되므로써 발로이스왕가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이제 왕위는 나바르의 앙리에게로 돌아갔다. 그는 케더린의 딸 마가렛의 남편으로서 위그노였다. 성 바돌로매의 날 대학살에서 살아남은 그는 이제 36세의 장년이었다. 그가 앙리 4세란 이름으로..

교회개혁의 선구자들 (7-1 프랑스에서의 개혁운동)

제 7장. 프랑스에서의 개혁운동 7.1 교회개혁의 선구자들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8.2.21)  지금까지 독일, 스위스, 영국, 스코틀랜드 등지에서 일어난 교회 개혁운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제 우리의 관심을 프랑스로 옮겨 그곳에서의 교회 개혁운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6세기 당시, 프랑스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였다. 루이 11세(1461~1483), 루이 12세(1498~1515)를 거쳐 프란소와 1세(Francois, 1515~1547)에 이르러 프랑스는 절대 왕권을 확립하였고, 강력한 중앙집권 정부를 형성하였다. 특히 프란소와 1세는 이탈리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당시의 교황 레오 10세와 볼로냐조약(Concordat of Bologna..

낙스의 개혁운동과 장로교 (6-3)

제 6장.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 6.3 낙스의 개혁운동과 장로교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8.2.15)  정치적 배경 존 낙스는 1559년 5월 2일, 에딘버러로 돌아왔는데 당시 스코틀랜드는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태에 있었다.제임스 5세(James Ⅴ, 1513-1542)의 유일한 자식인 메리 스튜어트(Mary Stuart, 1542년 12월 7일생, 1587년 처형 당함)는 여섯 살 때 어머니의 나라인 프랑스로 보내졌는데, 그곳에서 보호를 받으며 양육되었다. 메리는 명목상 스코틀랜드 여왕이었지 실제로는 그의 어머니인 기즈의 메리(Mary of Guise)가 섭정을 하고 있었다. 프랑스에서 성장하던 메리 스튜어트는 16세가 되던 1558년 4월, ..

스코틀랜드의 정치, 종교적 배경 (6-1)

제 6장.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 6.1 스코틀랜드의 정치, 종교적 배경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8.1.30)  지금까지 우리는 독일, 스위스, 영국(잉글랜드) 등지에서 일어난 교회개혁운동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제부터는 잉글랜드 북쪽에 있는 스코틀랜드에서 일어난 교회개혁운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은 후일 장로교로 발전하였고 그 개혁운동이 세계 장로교회의 원류가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널리 알려진 바이지만 스코틀랜드 개혁운동, 곧 장로교 신앙운동은 후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지로 전파되어 그 곳에 장로교회가 세워졌고 또 미국, 호주, 캐나다 장로교회는 1880년대 이후 한국에 선교사를 파송함으로써 ..

교회 정치 2025.01.28

에드워드 6세 치하에서의 개혁 (5-3)

제 5장. 영국에서의 개혁운동  5.3. 에드워드 6세 치하에서의 개혁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9.11)  헨리 8세가 사망하자 그의 외아들 에드워드는 아버지를 이어 1547년 1월 왕위에 올랐다. 그는 1537년 10월 12일 생이었으므로 그의 나이 꼭 아홉 살 때 왕위에 오른 것이다. 이 때로부터 그는 1553년까지 꼭 6년간 재임하였다. 어릴 때부터 병약했던 그는 1553년 그의 나이 16세 때 사망하므로 그의 통치는 길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매우 진지하고도 사려깊은 조숙한 어린이었으며 분별력과 판단력의 소유자였다. 그의 통치 기간 중에 많은 분야에 개혁이 이루어졌으므로 개혁자들은 그를 ‘어린 요시아’ 혹은 ‘ 새로운 요시아’(New Josiah)..

2차 제네바 개혁기(1541-1564) (4-6)

제 4장. 칼빈과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6. 제 2차 제네바 개혁기(1541-1564)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6.27)   칼빈이 제네바를 떠나 있는 3년간 제네바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시는 혼란과 무질서에 빠져 있었고 정치적으로,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제기되었다. 무엇보다도 이곳에서의 정치적인 변화는 칼빈의 생애에 또 하나의 전기를 마련하고 있었다. 칼빈과 파렐을 추방했던 이들은 실권을 하였고 종교적으로도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렇게 되자 칼빈의 제네바 귀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게 되었다. 결국 1540년 9월 21일 제네바 시의회는 칼빈의 귀환을 공식적으로 요청하기로 하고 대표단을 파견하기로 결의하였다. 제네바시가 칼빈의 귀환을 요청..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1536~1538) (4-4)

제 4장. 칼빈과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4.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1536~1538)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5.25)  제네바에서의 칼빈의 활동은 교회에서의 바울서신, 특히 로마서 강해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그는 성직자로 안수 받지 않은 상태였으며1), 그때로부터 1여년 가까이 정규적인 설교자는 아니었다. 단지 그는 파렐을 보좌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래서 제네바 도착 이듬해인 1537년 2월까지는 시의회로부터 어떤 보수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점차 칼빈의 활동과 역할은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곧 그의 뛰어난 신학적 통찰력, 법률가로서의 훈련, 그리고 교회개혁을 위한 불타는 정열은 칼빈을 제네바시 개혁운동의 중심부로 인도하고 있었던..

개혁운동의 발전과 개혁파의 형성 (3-3)

제 3장. 쯔빙글리와 스위스에서의 개혁운동 3. 개혁운동의 발전과 개혁파의 형성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4.16)  취리히에서는 시의회의 지원 하에 괄목할 만한 개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회당에서 성상(우상)이 제거되었고 오르간의 사용도 금지되었다. 오르간은 성경에서 찾아볼 수 없다는 점 때문에 폐기되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쯔빙글리가 음악을 혐오했다는 주장은 잘못이다. 왜냐하면 쯔빙글리는 예술, 특히 음악 애호가였고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자였다. 1525년 4월에는 가톨릭의 미사가 폐지되었고 그 대신 성경적인 성찬예식이 시행되었다. 많은 사제들, 수도사들, 그리고 수녀들은 독신제도의 굴레를 벗고 결혼하였다.   쯔빙글리는 취리히 시의회에 더 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