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경례 2

묵념에 관한 대화

대화 출처: https://open.kakao.com/o/g7UYmxQe (오픈채팅: 기독교인들의 교제와 성경대화) (채팅 특성상 즉석에서 오고 간 대화라 더 부족함이 있는 점 참고하셔서 유익이 되길 바랍니다.) ​ ​ 묵념에 관한 대화 ​(2018.10쯤) ​ ​ 역사사회LOVE: 제사지낼때 고개숙이는것,절 우상숭배인데 나라를위해 죽은위인들에게 묵념하는것은 우상숭배 아닌가요? 기독교(Sola): 맞습니다. 우상숭배에 해당됩니다. 제사 지낼 때뿐 아니라 묵념을 하면 안 됩니다. 우선 묵념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묵념 (표준국어대사전) : 말없이 마음속으로 빎. 주로, 죽은 이가 평안히 잠들기를 기원하는 뜻으로 한다. 제7조(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 방법) ① 묵념은 바른 자세로 눈을 감고 ..

신앙 대화 2024.01.02

국기에 대한 경례는 없어져야 한다.

국기에 대한 경례는 없어져야 한다. 기독교(Sola) (2018.7.17) 국기에 대한 경례가 원래는 지금과 같은 손을 얹는 게 아닌, 신사참배와 같이 허리를 숙여 국기에 인사하는 형태였습니다. 해방 후 신사참배와 같이 국기에 대하여 절 또는 90도로 인사를 하는 형태에서 파주 죽원리 장로교회의 합동측 교회와 그곳의 학생들이 그것을 거부함으로 퇴학 당한 뒤, 교계의 요청으로 인해 이승만 대통령 당시 지금의 손을 얹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손에 얹어서 기에 대해 인사하는 것 조차 2계명에 대한 불순종이기 때문에, 그 후에도 1972년 광양 진월중앙 초등학교 50명(오사교회)의 집단 거부 사건이 조선일보에 실렸고, 1973년에는 고신측 교인들이었던 김해여고 학생들이 거부를 하다가 퇴학당한 일 등이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