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징 2

다스리지 않는 교회들

다스리지 않는 교회들 ​ 장대선 목사 (2020.6.10) ​ ​ 장로교회정치의 용어상으로 ‘치리’는 ‘govern’으로서 다스림을 말하는 용어이며, 그러한 치리라는 용어의 의미에 따라 당연히 뒤따르게 되는 것이 바로 ‘권징’(discipline)이다. 즉 권징이 없는 치리, 곧 교회의 다스림이란 전혀 성립할 수 없는 언어도단인 것이다. ​ ​ 하지만 안타깝게도 현실에서는 오히려 그러한 언어도단이 너무도 명백한 현실이다. 심지어 치리, 곧 다스림이라는 말조차도 교회에서 선호되지 않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인 것이다. 그런즉 치리도 권징도 없는 현대교회에서는 사실상 교회정치가 불가능하다. 교회정치의 원리를 실천하는 용어인 치리와 권징이 유명무실하다면, 그런 유명무실을 바탕으로 하는 교회정치란 사실상 야망을 위..

교회 정치 2024.04.19

한국장로교 권징조례의 발전역사와 그 신학적 문제점

한국장로교 권징조례의 발전역사와 그 신학적 문제점 김인석 목사 / 칼빈장로교회 (2003.2.12) 1. 한국장로교 권징조례의 발전역사 한국에 처음으로 독노회가 조직된 것은 1907년 9월17일 9시 평양 장대현교회(혹은 중앙교회)에서였다. 1907년 독노회가 조직되면서 매년 예수교장로회헌법에 대한 작성이 활기를 띄었다. 1917년까지 헌법과 관련되어 계속 작성되는 일이 많았다. 특별히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작성이 되었다. 첫째는 도리적헌법(道理的憲法)부분으로 신경과 대소요리문답이었고, 둘째는 관리적헌법(管理的憲法)부분으로 정치, 권징, 예배모범으로 구성되어 있다. 1913년 제 2회 총회에서 김이제씨가 헌의한 건 가운데 정치와 권징조례 출간에 대한 안이 있었다. 정치는 임의로 출간하였고 권징조례는 ..

교회 정치 2023.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