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징조례 2

권징조례, 노회 재판국이 판결 전에 당회장직을 임시 정지할 수 있는가?

권징조례, 노회 재판국이 판결 전에 당회장직을 임시 정지할 수 있는가? ​ 소재열 목사 (2019.3.27) ​ ​ 노회 재판국은 위탁받은 사건만 처리, 행정결정 위탁받지 않았다면 불가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헌법에 의하면 지교회 담임목사가 노회에 피소되어 정식 안건으로 채택된 후 치리회 본회가 재판회로 직할처리하지 않고 재판국을 구성하여 피소된 소송건을 위탁하여 처리할 수 있다. ​ “노회는 각 당회에서 규칙대로 재출하는 헌의와 청원과 상소 및 소원과 고소와 문의와 위탁판결을 접수하여 처리하며, 재판건은 노회의 결의대로 권징조례에 의하여 재판국에 위임 처리하게 할 수 있다(헌법, 정치 제10장 제6조 제2항) ​ 권징조례에 의하여 재판국에 위임 처리하는 규정은 다음과 같다. ​ “노회는 재판 사건을..

교회 정치 2024.03.17

한국장로교 권징조례의 발전역사와 그 신학적 문제점

한국장로교 권징조례의 발전역사와 그 신학적 문제점 김인석 목사 / 칼빈장로교회 (2003.2.12) 1. 한국장로교 권징조례의 발전역사 한국에 처음으로 독노회가 조직된 것은 1907년 9월17일 9시 평양 장대현교회(혹은 중앙교회)에서였다. 1907년 독노회가 조직되면서 매년 예수교장로회헌법에 대한 작성이 활기를 띄었다. 1917년까지 헌법과 관련되어 계속 작성되는 일이 많았다. 특별히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작성이 되었다. 첫째는 도리적헌법(道理的憲法)부분으로 신경과 대소요리문답이었고, 둘째는 관리적헌법(管理的憲法)부분으로 정치, 권징, 예배모범으로 구성되어 있다. 1913년 제 2회 총회에서 김이제씨가 헌의한 건 가운데 정치와 권징조례 출간에 대한 안이 있었다. 정치는 임의로 출간하였고 권징조례는 ..

교회 정치 2023.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