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예배 4

기도에 대한 성경신학적 고찰

기도에 대한 성경신학적 고찰 이광호 목사 (2004년쯤 추정) (생략) 이런 기도의 형태들은 과연 어디서 왔는가? 우리가 조심스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이러한 기도의 형태들은 거의 한국 전통종교에서 차용된 것이라는 점이다. 19세기 말 한국에 기독교가 들어오기 전부터 일반 한국 백성들 가운데는 새벽기도를 하고 철야기도를 하는 이들이 많이 있었다. 새벽기도는 여성들의 종교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극히 소수의 남성들 중에 새벽기도를 하는 자들이 있었으나, 당시의 가정주부들은 대개 가정의 무당역할을 했으며 매일 새벽 정화수를 떠놓고 조왕신에게 빌면서 성미(誠米)를 바쳤던 것이다. 그것이 나중에 길선주 목사의 새벽기도와 접목이 되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교회의 전통이 되어 있다. 이는 원래 기독교의 기도..

한국적 샤머니즘에 가미된 한국식 기독교 전통, 새벽기도회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FQUIWvnR3M&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21 한국적 샤머니즘에 가미된 한국식 기독교 전통, 새벽기도회 (새벽기도회 길선주목사) ​ 지원용 교수 (최소 2013.7 이전) ​ ​ 새벽 “기도”와 새벽 “기도회(예배)”는 분명히 다르다. 성경대로 행하는 개인적인 기도는 언제 어디서든지 바른 실행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종교형식으로 자리를 잡게 됨으로 다시 율법으로 돌아가는 풍조가 일어나고 있다. 개인이 자발적으로 시간을 정해서 실행하는 것은 그의 믿음을 보여주지만, 공식적인 예배로 하는 것은 성경적이지 못하다. 육신적 열성은 결국 ..

오디오 칼럼 2023.11.19

개혁주의 교회는 새벽기도회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개혁주의 교회는 새벽기도회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김만옥 목사 (2019.1.1) 한국교회는 전 세계교회와 색다른 신앙생활의 규범(regula fidei)으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십일조와 새벽기도회다. 그래서 공적 모임으로 주일부터 새벽기도회를 시작하는 교회들이 적지 않고 중시하여 직분 임명에도 주일성수와 십일조를 넘어서 새벽기도회를 보기도 한다. 그런데 신앙적 사고로 생각해 볼 것이 새벽기도회가 21세기를 살아가는 한국교회의 신자들에게 신앙생활의 규범이 되어야 하는 것인가를 질문해 보아야 할 시기라는 것이다. 즉 과거의 농경사회에서 새벽기도회가 필요할 수 있었지만 지금의 사회에서 사실상 새벽에 모이는 것이 쉽지 않고 현실적으로 새벽기도회 출석률은 주일예배에 출석하는 세례신자들 중에 매우 적..

한국적 샤머니즘에 가미된 한국식 기독교 전통, 새벽기도회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FQUIWvnR3M&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21 한국적 샤머니즘에 가미된 한국식 기독교 전통, 새벽기도회 (새벽기도회 길선주목사) ​ 지원용 교수 (최소 2013.7 이전) ​ ​ 새벽 “기도”와 새벽 “기도회(예배)”는 분명히 다르다. 성경대로 행하는 개인적인 기도는 언제 어디서든지 바른 실행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종교형식으로 자리를 잡게 됨으로 다시 율법으로 돌아가는 풍조가 일어나고 있다. 개인이 자발적으로 시간을 정해서 실행하는 것은 그의 믿음을 보여주지만, 공식적인 예배로 하는 것은 성경적이지 못하다. 육신적 열성은 결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