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27

종교개혁파의 성경 번역

종교개혁파의 성경 번역 고경태 목사 (2018.10.18)  성경번역은 382년 교황 다마소 1세(라, Damasus I)가 제롬(라: Eusebius Sophronius Hieronymus, 영 Jerome, 348-420)에게 명령해서, 베들레헴에서 384년에 복음서를 386년에 신약전체 그리고 구약성경을 405년에 번역을 끝냈다. 70인경과 히브리어 구약에서 구약성경을 헬라어로 신약성경을 라틴어(Vulgate, 서민, 대중적인)로 번역했다. 불가타에는 구약성경 46권과 신약성경 27권 모두 76권의 책이 들어있다. 제롬의 라틴어 번역 성경 출판에 대해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제국 교회의 분열을 우려하기도 했다. 8세기에 제롬의 번역은 Vulgate(대중적인)역본으로 자리를 잡았다. 중세 로마 교회는 라틴..

사도신경 형성 배경

사도신경 형성 배경 손봉호 교수 / 옮긴이: 개혁신앙  1. 시작하는 말 우리가 지금 고백하고 있는 사도신경(使徒信經)은 어떤 사람이 만들어 낸 것도 아니고 어떤 공의회에서 의도적 인위적으로 제정한 것도 아니다. 그것은 성경의 가르침을 분명하고 핵심적으로 요약해서 젊은이들과 새로 믿는 사람들을 교육하고, 비기독교 사상으로부터 기독교를 변증하며, 나아가서 이단으로부터 성경적 기독교를 보호하기 위한 초대교회의 시도(試圖)가 요랜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결정(結晶)된 것이다.그러나 사도신경의 형성(形成) 과정을 단순히 역사적으로만 설명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 신앙고백이 신구(新舊) 기독교의 공통적인 신앙고백으로 남아 있게 된 것은 분명히 성령의 역사라고 믿어야 할 것이다. 특히 사도신경이 형성될 즈음 미사가 ..

그리스도인은 사회주의자가 될 수 있는가?

그리스도인은 사회주의자가 될 수 있는가? 정성호 목사 / 대구서교회 (코람데오닷컴 / 2019.10.10)  요즘 때아닌 이념논쟁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미 역사가 판단을 내려준 문제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아직 우리나라에서만큼은 사회주의 이념이 맹위를 떨치고 있다. 조국 법무부장관은 청문회라는 공식 석상에서 자신을 사회주의자로 지칭함으로 인해 이에 대한 논의가 새롭게 촉발되었다고 생각한다.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진영에서는 사회주의는 곧 공산주의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여 종북이라는 이름표를 붙여서 공격한다. 진보적 입장을 취하고 있는 진영에서는 이런 공격에 대하여 크게 대응하지는 않은 채, 묵묵히 자신들이 따르는 사회주의적 이념 실현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이것뿐만 아니다. 그리스도인..

[교회사 산책 2] 그리스도가 오시기 전 유대 땅의 정치적 종교적 상태

교회사 산책 (2) 닉네임: 나그네 / 칼빈장로교회 (2016.5.22)  1. 그리스도가 오시기 전 유대 땅의 정치적 종교적 상태 1.1 서양력에 따라 A.D.(Anno Domini)와 B.C.(Before Christ)로 나누는 역법은 기독교 정신에서 비롯되었다. 그리스도가 탄생하시기 전의 인류 역사는 그분의 오심을 위한 준비이고, 그 후의 역사는 그의 나라가 전진하는 과정이라고 볼 때 그리스도는 모든 인류 역사의 중심점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성경이 말하고 있는 교회의 역사는 이민족과 하나님의 백성들 사이에 구별을 아브라함을 필두로 해서 새로운 출발점을 갖는다. 애굽 땅에서 민족을 형성하게 되고, 출애굽하여 광야에서 신정국가의 틀이 되는 율법을 받아 40년을 훈련받다가 여호수아에 의해 약속의 땅으..

[교회사 산책 1] 기독 교회사를 공부하는 이유

* 본 내용은 주일 오후 교우들과 공부하는 교회사 내용이다. 필립 샤프의 교회사를 텍스트로 삼아 에피소드 중심으로 간략하게 요약한 내용이다. 현재도 진행 중이다(2016년5월) 교회사 산책 (1) 닉네임: 나그네 / 칼빈장로교회 (2016.5.22)  1. 기독교회사를 공부하는 이유 기독교인들에게 ‘역사’란 기본적으로 ‘하나님의 역사’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그분에 의한, 그분을 위한, 그분을 향한 길이다. 지난 이천년까지의 하나님의 역사는 성경계시로 충분하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그 어떤 기록도 성경이 주는 유익 그 이상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성경이 종결된 이후 하나님의 역사는 교회 역사를 통해서 드러나고 정리되고 있다. 따라서 교회 역사는 오늘 우리 교회 상태에 대한 열쇠이며, 미래 교회를 위한..

요리문답(catechism) 유행 (웨스트민스터 회의 당시)

요리문답(catechism)의 유행 --- 웨스트민스터 회의 당시  양남식 목사 (2016.7.8)  웨스트민스터 총회는 두 개의 요리문답서를 제작하였습니다. 그런데 왜 질문과 답으로 구성된 요리문답일까요?(Catechism) 이 질문과 답으로 구성된 교재와 이를 통한 교육은 16-17세기에 선풍적으로 유행한 교육 방식이었습니다.1570년부터 1660년까지 무려 500개가 넘는 각기 다른 문답서가 제작되었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소요리, 대요리문답이 만들어지는데 지대한 공을 세운 Herbert Palmer 라는 분이 계셨는데요. 사실 두 개의 요리문답서가 만들어지기 전에도 이 분이 만든 문답서(An Endeavor of Making the Principles... Plaine and Easie)를 기반..

칼빈에 있어서 "오직 성경"의 의미 고찰

칼빈에 있어서 "오직 성경"의 의미 고찰 김영규 교수 / 개혁주의 성경연구소 소장  1. 성경의 원칙(Regula scriptura sive Regula verbi Dei) 칼빈(Calvin)은 자신으로부터 자신을 향하여 생각하고 말했던 인문주의적인 학자는 아니었다. 처음 이레니우스(Irenaeus)가 모든 이단들 안에서 잘못으로 인식하였던 그런 인간들의 생활 양식을 오히려 그는 하나의 커다란 신학적인 문제로 간주하였다. 어거스틴(Augustinus) 역시 그 인간문제에서 모든 문제의 원천을 응시할 수 있었다: "절대자이신 그 분으로부터 떠나 절대자가 아닌 그들이 그들 스스로에게 돌아가는 것… 이것이 그 본성에 있어서 첫 타락이요 첫 결점이며 첫 잘못이다… 왜냐하면 절대자이신 그 분으로부터 비절대자인 것..

교리 공부 이렇게 한다 - 교리교육의 이유와 지침

교리 공부 이렇게 한다 - 교리교육의 이유와 지침 성희찬 목사 / 마산제일교회 / 예장 고신총회 헌법해설위원회 (서기) (2011.7)  ※ 다음 글은 필자 성희찬 목사가 2011년 7월호에 기고한 글을 일부 편집 및 보완한 것입니다. 최근 한국교회에 교리공부의 바람이 불고 있는 것 같다. 아직도 소수이지만 교리를 공부하는 교회가 점점 늘어가고 있고, 주로 목회자와 후보생들이 애독하는 을 비롯하여 기독교 관련 잡지에서 심심찮게 교리를 강조하는 글이 실리고 있다. 지난 1980년부터 성행한 성경공부와 제자훈련이 성도의 신앙생활에 여러모로 유익을 가져왔다고 할지라도 이제 서서히 한계에 부딪히기 때문일까? 무엇보다 그 배경에는 성행하는 이단의 공격과 도를 넘는 은사운동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긍정적인 배경..

바른 성경 해석과 정통 교리의 중요성

바른 성경 해석과 정통 교리의 중요성 배현주 목사 (2016.2.29)  “정통 교리 거부는 교회의 보편성과 통일성 파괴하는 분파주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제1장 10항은 “모든 종교적 논쟁의 결정과 종교 회의 결정과 고대 저술가들의 견해와 사람들의 교리들과 사적인 정신을 살필 때에 오직 최종 결정권자는 성경 안에서 말씀하시는 성령이시다”라고 고백한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모든 종교적 논쟁의 결정”(all controversies of religion are to be determined)과 “종교 회의의 결정”(all decrees of councils)과 “고대 저술가들의 견해”(opinions of ancient writers)와 “사람들의 교리들과 사적인 정신”(doctrines of ..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해야 한다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해야 한다 배현주 목사 (2015.12.29)  “해석하기 어려운 성경 본문은 좀 더 평이한 성경 본문으로 해석해야”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서는 제1장 7항에서 “성경 안에 모든 것들이 그 자체 안에 서로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분명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모두 동일하게 명료한 것도 아니다. 그러나 여전히 구원을 위하여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고 믿어야 하며 살펴야 하는 것들은 성경의 몇몇 본문이나 다른 본문 안에서 그렇게 분명하게 제시하고 열려있다. 그것은 학식있는 자 뿐만 아니라 학식이 없는자까지도 정규적인 방법들을 합당하게 사용함으로서 충분하게 그것들을 이해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모든 성경 본문이 항상 모든 신자들이 일정하고 평이하며 분명하게 이해될 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성경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성경관 배현주 목사 / 주교개혁장로교회 (2015.12.2)  “기록된 신구약 성경 66권 외에 더 이상 성령의 계시는 없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제1장 6항은 “성경 안에 하나님 자신의 영광과 사람의 구원과 믿음과 삶에 필수적인 모든 것에 관한 하나님의 전체 경륜이 분명하게 세워져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여하한 경우에도 성령의 새로운 계시라거나 인간의 전통이 첨가될 수 없다”고 고백한다.  종교가 깊게 타락했었던 중세 교회 시대는 매우 미신적인 신앙이 퍼져 있었다. 그래서 신비한 체험이라든가 하나님의 말씀을 배제하고 인간의 종교성을 통하여 신을 명상하는 신앙 형태가 도처에 널려 있었다. 중세 시대에 세워진 수도원이 그러한 역할을 하였다. 지금 시대 신비주의도 중세 시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성경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성경론  배현주 목사 (2015.7.7)  “성경을 제외한 학문, 예술, 문화, 자연 등 모두는 일반 은총에 속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성경론 제1항은 “자연의 빛”을 언급한다. 여기에서 “자연의 빛”(Lumen Naturalis)이란 중세 시대부터 이성의 빛(Lumen Rationis)으로 표현되는 자연을 탐구하는 인간의 지성을 말한다.  이 자연의 빛으로부터 자연법이 발생하였다. 세속법은 모두 자연법으로부터 비롯된다. 그것은 인류가 전적으로 타락한 이후에 희미하게 남아 있는 양심을 따라서 발생한 법이다. 자연법(Lex Naturalis)은 인간 사회를 유지하는 법이다. 그것은 고대 사회에서도 있었다. 고대 사회에 대표적인 자연법에는 함무라비 법전이 있다. 그러한 법전들은..

교리의 중요성 어록 모음

교리의 중요성 어록 모음  Sola  "교리에 무관심한 것은 기독교에 무관심하다고 말하는 다른 표현 방식이다." (B.B.워필드)    “기독교가 일종의 느낌일 뿐 신학과는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기독교를 거부하는 사람이다. 기독교에는 항상 신학, 다시 말해 신앙의 내용이 있다.... 진정으로 자신의 신앙 내용을 누리며 사는 신앙인이 진정한 신자다. 어쨌든 진정한 기독교 신학을 믿지 않으면서 기독교인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모순이다. 아무리 선하게 보이고 성실한 종교 생활을 해도, 자신의 신앙 내용도 제대로 모르는 사람을 어떻게 신자라고 부를 수 있을까? .... 진리를 받아들이는 것은 구원의 기본일 뿐만 아니라, 잘못된 교리는 죄의 근원이자, 지옥의 선봉으로 거부되어야 한다.”  (찰스 핫지의 “T..

칼빈주석 '고린도전서 서론' 중 3장 개론

칼빈주석 '고린도전서 서론' 중 3장 개론 존 칼빈 / CH북스  제 3장에서 바울은 앞 장의 마지막 부분을 고린도 교인들에게 적용한 내용으로 시작한다. 다시 말해서, 그는 그들이 육신적인 자들이기 때문에, 복음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들조차도 거의 배울 수 없는 상태에 있다고 탄식하는 것으로 이 장을 시작한다. 이런 식으로, 바울은 그들이 말씀을 제대로 깨닫지 못하고 배울 수 없는 이유는 말씀 자체에 어떤 문제나 결함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 자신이 무지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지적한다.  이와 동시에, 그는 그들의 마음이 새롭게 될 때에만, 그들이 어떤 일에 대해서든 올바르고 적절한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에, 그들의 마음이 새로워질 필요가 있다고 은연중에 그들에게 경고한다. 이어서, 그는..

성경해석 - 정통교리 VS 자신의 이성

어떻게 성경을 해석해야 할까?  배현주 목사  우리는 정통 교리로 성경을 해석해야 할까자신의 이성의 분별력으로 성경을 해석해야 할까실은 이 두 가지는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자신의 이성에 맞지 않을때 어떻게 해야 하나일단은 정통 교리로 성경을 해석해야 한다그러나 정통 교리의 어느 부분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면 매우 조심스럽게 진지하고 신중하게 살펴야 한다 무엇보다 그 교리가 형성된 시대의 거의 모든 신학자들의 저작을 살피고 결론을 맺을 그러한 역량이 없다면 신자들은 자기 이성을 믿기 보다 오랜 역사 가운데 축적되어 전해진 정통 교리를 믿는 것이 더욱 안전하다 대부분 정통 교리를 무시하는 신자들의 주장을 들어보면 무지로부터 비롯된 경우가 대부분이다어디에서 해석상 결핍으로 인해서 정통 교리를 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