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바 9

제네바 목사들은 평생 공부했다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9)

제네바 목사들은 평생 공부했다 임종구 목사의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9) ​임종구 목사 / 푸른초장교회 (2017.3.10)​​공부하는 목사, 예외 없었다​1541년 칼뱅이 제네바에서 제2차 사역을 시작하면서 1차 체류(1536~1538)때와 비교하여 가장 큰 변화 중의 하나는 바로 제네바목사회(Compagnie des pasteurs de Genéve)가 매주 금요일 오전과 오후에 성경과 신학을 연구하기 위해 회집했다는 것이다. 이 회합의 명칭은 콩그레가시옹(Congrégation)으로 불렸고 제네바 목사들의 자율적인 모임이 아니라 교회 법령에 명시됨으로서 불참할 경우와 성경강해 발제가 불성실할 경우 파면의 사유가 될 정도로 강제적이면서 목사의 의무 중 하나였다. 제네바목사회는 아마도 1541년부터..

칼뱅과 가정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6)

칼뱅과 가정 임종구 목사의 칼뱅과 제네바교회 이야기 (6)​임종구 목사 / 푸른초장교회 (2017.2.16)​​가정은 개혁신앙 증명해야 한다​​칼뱅은 스트라스부르에 머무는 동안 가정을 꾸리게 된다. 종교개혁은 종교, 직업, 교육, 가정에서 근대의 문을 열었다고 할 수 있는데, 그 가운데서도 가정을 본래의 자리로 돌려놓는 역할을 했다.​칼뱅은 1540년 8월 10일 파렐의 주례로 이들레트 드 부르(Idelette de Bure)와 결혼한다. 그녀는 재세례파 장 스토르데르의 미망인으로, 남편이 흑사병으로 세상을 떠난 뒤 부처의 소개로 칼뱅과 가정을 이루게 되었다. 칼뱅이 결혼하기까지 몇 번의 우여곡절이 있었다. 칼뱅은 파렐에게 보낸 편지에서 장차 자신의 아내가 될 사람에 대해 ‘나를 사로잡는 유일한 아름다움..

제네바 교회와 신앙교육

제네바 교회와 신앙교육 칼뱅의 제1차, 제2차《신앙교육서》를 중심으로 안상혁 역사신학 조교수 / 정암 신학강좌 발표 (2014.11.11)  I. 서론  칼뱅은 《제네바 신앙교육서 (교리문답서) Catechismus Ecclesiae Genevensis》를 그의 제네바 종교개혁에 있어 중심적인 위치에 자리매김 하였다. 신앙교육서에 대한 칼뱅의 강조는 “하나님의 교회는 신앙교육서 없이는 결코 보존되지 못할 것이다”라고 말한 그의 진술 속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1541년, 칼뱅이 제네바로 돌아와 줄 것을 간청하는 시의회는 앞으로 신앙교육과 권징을 성실하게 실천할 것을 약속한 후에야 비로소 칼뱅의 허락을 얻어 낼 수 있었다. “과연 어떤 역사적 배경에서 칼뱅은 《신앙교육서》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그 목적은..

2차 제네바 개혁기(1541-1564) (4-6)

제 4장. 칼빈과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6. 제 2차 제네바 개혁기(1541-1564)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6.27)   칼빈이 제네바를 떠나 있는 3년간 제네바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시는 혼란과 무질서에 빠져 있었고 정치적으로,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제기되었다. 무엇보다도 이곳에서의 정치적인 변화는 칼빈의 생애에 또 하나의 전기를 마련하고 있었다. 칼빈과 파렐을 추방했던 이들은 실권을 하였고 종교적으로도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렇게 되자 칼빈의 제네바 귀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게 되었다. 결국 1540년 9월 21일 제네바 시의회는 칼빈의 귀환을 공식적으로 요청하기로 하고 대표단을 파견하기로 결의하였다. 제네바시가 칼빈의 귀환을 요청..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1536~1538) (4-4)

제 4장. 칼빈과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4.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1536~1538)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5.25)  제네바에서의 칼빈의 활동은 교회에서의 바울서신, 특히 로마서 강해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그는 성직자로 안수 받지 않은 상태였으며1), 그때로부터 1여년 가까이 정규적인 설교자는 아니었다. 단지 그는 파렐을 보좌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래서 제네바 도착 이듬해인 1537년 2월까지는 시의회로부터 어떤 보수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점차 칼빈의 활동과 역할은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곧 그의 뛰어난 신학적 통찰력, 법률가로서의 훈련, 그리고 교회개혁을 위한 불타는 정열은 칼빈을 제네바시 개혁운동의 중심부로 인도하고 있었던..

개혁의 도시 제네바 (4-3)

제 4장. 칼빈과 제네바에서의 개혁운동  3. 개혁의 도시 제네바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5.7)  1536년 7월 칼빈의 제네바 도착은 프로테스탄트역사에 있어서 실로 커다란 발전의 시작이었다. 칼빈이 이곳 제네바에 도착했을 때 아무도 후일 칼빈이 이 도시의 개혁자로 생애를 바치며, 이 도시가 프로테스탄트 운동의 중심지가 될 것을 예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역사의 주관자이신 하나님은 1536년 7월 이 날을 우연한 사건, 한 순례자의 의미 없는 행로(行路)로 남겨두지 않았다.   1536년 7월 11에는 북구 인문주의 운동의 왕자였던 에라스무스(Erasmus)가 스위스 바젤에서 숨을 거두고 같은 해 프랑스 인문주의 운동의 선구자 르페브르(Lefivre d..

제네바교회, 이렇게 구제했다

제네바교회, 이렇게 구제했다 임종구 목사 / 기독뉴스 (2017.5.18) 예배를 영어로 ‘서비스(Service)’라는 부르는 것은 구제가 예배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 그래서 종종 구제를 ‘예배 후의 예배’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이다. 초대교회에서 ‘예배(worship)’와 ‘복지(welfare)’는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었다. 그렇다면 칼뱅이 사역했던 제네바교회의 구제사역은 어떠했을까? 베르게리오는 제네바의 모습을 “나는 교회에서 가난한 자들을 위해 공개적으로 모금을 하는 것을 결코 보지 못했다. 그러나 나는 여기에서 단 한 명의 거지도 만나지 못했다. 그것은 이 도시에서는 진정한 형제애 가운데 풍성한 도움이 이들에게 제공되고 있었던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종교개혁 이전의 제네바에는 ..

제네바에서의 칼빈의 초기 사역과 제네바 교회

제네바에서의 칼빈의 초기 사역과 제네바 교회  18개월의 초기 사역과 그 성격 작자 미상 (기독교 편집)  1. 제네바로 오기 이전의 칼빈  (1) 1533. 11. 1. Nicolas Cop의 빠리 대학 총장 강연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주해에 근거한 루터파적인 내용의 강연  -Erasmus의 신약성서 제 3판의 사상과 언어를 그대로 따르고 있으며 주해 부분에서 Bucer가 라틴어로 옮긴 루터의 해석을 상당 부분 그대로 따르고 있음.   (2) 샤를르 데스뻬빌르(Charles d'Espeville)라는 가명 사용하며 피신  쌩똥쥬(Saintinge)에 있는 앙굴렘므(Angoulême), 네락(Nerac), 노이용(Noyon), 빠리(Paris), 다시 쌩똥쥬(Saintinge), 뽀아티..

제네바 시편찬송 어플 (유료)

제네바 시편찬송 어플 (유료) 제네바 시편찬송을 들을 수 있고 반주만 들을 수도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핸드폰용 / 구글)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psalter&hl=ko 제네바 시편가 - Google Play 앱 칼뱅의 시편찬송가는 개혁교회의 유산입니다.150편의 시편가사와 세개의 다른 노래를 운율에 맞추어 노래하도록 구성한 곡들의 모임입니다. play.google.com (아이폰용) https://apps.apple.com/kr/app/%EC%A0%9C%EB%84%A4%EB%B0%94%EC%8B%9C%ED%8E%B8%EC%86%A1/id1503611186 ‎제네바시편송 ‎뱅의 시편찬송가는 개혁교회의 유산입니다.150편의 시편가사와 세개..

시편 찬송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