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익 5

보수와 진보가 이해하는 ‘자유’의 차이

보수와 진보가 이해하는 ‘자유’의 차이 김민호 목사 (2020.1.26 )  ‘자유’는 법이 제한하는 범주 안에서의 자유를 말한다 보수와 진보를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는 '자유'와 '평등'이다. 보수는 평등보다 자유를 강조한다면, 진보는 자유보다 평등을 더 강조한다. 자유를 강조하면 '자유민주주의'가 되고, 평등을 강조하면 '인민민주주의'(공산주의)가 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한국에서는 평등보다 자유를 강조하면 흔히 보수라 한다.그러나 보수와 진보를 단순히 '자유'라는 용어 하나만으로 구별하려는 태도는 그다지 적절치 않다. '자유'라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모두 보수는 아니기 때문이다. 자유라는 용어는 보수진영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자유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보수'와 '진보'로 분류된다. 이..

보수 정치와 하나님의 섭리

보수 정치와 하나님의 섭리 김민호 목사 (2019.12.13)  일찍이 아브라함 카이퍼는 '세속 정부는 하나님에 대한 자연적 지식만 있다'고 했다.1) 반면 "하나님의 나라는 초자연적 지식이 어둡지 않게 비치는 곳"이라 했다.2) 이 말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 정치는 일반계시(자연을 통해 계시된 법칙)의 영역 안에 있고, 하나님의 나라로 대표되는 교회는 특별계시(성경)의 영역까지 지식의 빛을 받고 있다는 뜻이다. 때문에 카이퍼는 세속 정부가 비록 종교의 영역이 아닐지라도 얼마든지 하나님의 존재와 하나님의 창조와 통치, 그리고 이 모든 통치의 섭리는 정의(正義)를 갈망하고 부정의(不正義)의 원수라는 것을 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속 정치는 어떤 식으로든 하나님을 정치에서 제거하려 한다. 이것은..

보수정치와 성경적 법률관

보수정치와 성경적 법률관 김민호 목사 (2019.11.29)  출애굽기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에서 이끌어내신 후에 가장 먼저 하신 일은 율법을 주신 것이다. 율법은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이 어떤 관계인지 규정한다. 여기서 신정정치(神政政治) 개념이 나온다. 신정정치는 종교개혁 이후에 법치(法治)라는 방식으로 여러 국가들에 이식(移植)된다. 개혁자들은 법치를 통해 복음이 들어간 나라마다 하나님의 통치가 구현되도록 했다. 그러나 법치의 개념은 프랑스 혁명 이후에 혼란스러워졌다. 법에 대한 인본주의적 입장이 등장하면서 나라의 존재 방식을 크게 자유민주주의와 인민민주주의로 보게 됐다. 얼마 전 집권여당은 헌법을 개정하려 했다. 여기서 핵심적인 이슈 가운데 하나는 자유민주주의에서 “자유”라는 표현을 ..

교계, 사학법 개정안에 대한 반대 목소리 높여!

교계, 사학법 개정안에 대한 반대 목소리 높여!​정성호 기자 (코람데오닷컴 / 2020.11.18)​​- 개정안, '이사정수 2분의 1에 해당하는 이사를 개방이사에서 추천'​- 개정안을 적용하면 고려학원의 경우 개방이사 추천 이사들이 총회 파송 이사수를 넘어서...총회와 학교의 분리 우려​- 한교총, "기독교 학교의 존립을 무너뜨리는 사학법 개정안에 반대"​- 기정추, "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찬성하지만 건학이념이 무너져 기독교 학교가 사라지게 될 것을 우려"​​최근 21대 국회에서 사립학교법(이하 사학법) 개정안이 다수 발의되었다.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을 대표로 한 사립학교법 일부개정법률안도 이에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 사학의 비리를 제도적으로 방지하고 사립학교의 공공성을 강화하겠다는 취..

교회 정치 2024.08.01

포괄적 차별금지법안에 대한 단상

포괄적 차별금지법안에 대한 단상 ​ 소재열 목사 / 리폼드뉴스 (2020.8.25) ​ ​ 국회에서 통과시키고자 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종교계, 교회가 왜 그토록 반대하는가? 그것은 그 법안이 갖고 있는 폐해성 때문이다. 이는 종교의 근본을 거부 내지는 파괴하는 것으로 이 땅에서 일어날 종교전쟁의 발아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이는 일제가 1944년 6월 교회를 탄압하고 해체시키기 위해 총독부 발표문인 “구약금지, 신약에서 재림과 최후심판을 삭제(천황모독), 복음 설교자는 총독부로부터 허락을 받은 자로 제한” 등을 골자로 한 10개 항과 다를 바 없다고 주장한다. ​ 현재 ‘장애인 차별금지법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 ‘양성평등기본법’등 개별적인 차별금지법이 현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모든 사유와 ..

교회 정치 2023.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