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신학 31

결혼과 언약: 그리스도인 결혼의 전제조건

결혼과 언약: 그리스도인 결혼의 전제조건 [십계명(59) - 제7계명(4)]​한길교회 주일오후예배 설교문 (2015.4.12)​​설교본문낭독: 창세기 2장 18-25절; 고린도후서 6장 14-18절신조 낭독: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제24장 3절;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제139문답​​서론​언약으로서의 십계명​십계명 강해를 시작한 지 제법 되었습니다만, 십계명을 처음 배울 때에 십계명의 개론적인 내용을 배우면서 십계명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성격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그 때 말씀드리기를 십계명을 단순하게 ‘하나님의 명령’으로만 이해해서는 안되고 여러 가지 측면으로 생각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그 중에서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것은 십계명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언약의 말씀’이라는 사실입니다..

정통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언약의 통일성

정통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언약의 통일성​김영규 목사 (2013년경)​​그리스도의 만족교리가 점점 더 파괴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헤르만 바빙크의 역사적 진단에 귀를 기울어야 한다. 즉 "그리스도가 모든 인간들을 위해 죽으시되 그들 편에서의 신앙과 회심의 조건 위에서 죽으셨다 하는 아미랄두스(Amiraldus)의 가설적 보편주의가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 많은 장로교 학자들 사이에도 동의를 얻게 되었고, 용서는 독특하게 그리스도의 만족에 의존하였던 것이 아니라, 그의 귀감적인 고난에서 그것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창조하였다고 하는 그로티우스(Grotius)의 이론에 길을 준비하였으며 웨슬레적인 아르미니안주의에서 뿐만 아니라,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들에 의해서 성경적이고 바르다고 포용되었다"는 점이다. 그와같이 코케..

'하나님의 큰 일' 일부 요약 (헤르만 바빙크)

'하나님의 큰 일' 일부 요약 (헤르만 바빙크) 닉네임: 단추구멍 (2011년 추정)  제1장 최고선(最高善) 1. 하나님은 인간의 최고선  인간의 최고선은 하나님이시요, 하나님뿐이시다. 일반적으로 하나님이 모든 피조물들의 최고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하나님이 만물의 창조자이시며 보존자이시며, 모든 존재와 모든 생명의 근원이시고, 모든 선한 것들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모든 피조물들은 매 순간마다 영원하고 유일하시며 어디에나 계시는 존재이신 하나님에게만 의존하고 있다.   2. 하나님을 떠난 인간 1)타락한 인간, 인간의 비참함과 잔존하는 하나님의 선물   인간은 처음부터 하나님의 모양과 형상에 따라 창조되었고, 그의 신적 기원과 신적 유사관계를 지워버리고 파괴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는 그런 하..

제네바 교회와 신앙교육

제네바 교회와 신앙교육 칼뱅의 제1차, 제2차《신앙교육서》를 중심으로 안상혁 역사신학 조교수 / 정암 신학강좌 발표 (2014.11.11)  I. 서론  칼뱅은 《제네바 신앙교육서 (교리문답서) Catechismus Ecclesiae Genevensis》를 그의 제네바 종교개혁에 있어 중심적인 위치에 자리매김 하였다. 신앙교육서에 대한 칼뱅의 강조는 “하나님의 교회는 신앙교육서 없이는 결코 보존되지 못할 것이다”라고 말한 그의 진술 속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1541년, 칼뱅이 제네바로 돌아와 줄 것을 간청하는 시의회는 앞으로 신앙교육과 권징을 성실하게 실천할 것을 약속한 후에야 비로소 칼뱅의 허락을 얻어 낼 수 있었다. “과연 어떤 역사적 배경에서 칼뱅은 《신앙교육서》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그 목적은..

제네바 아카데미 탐방

제네바 아카데미 탐방  닉네임: 설어장  오늘은 스위스에 있는 제네바 아카데미를 찾아가 보겠습니다. "처음부터 칼빈은 말씀 사역을 위해 사람들을 훈련시키고자 했다.제네바에 대학이 있었지만 칼빈이 원하는 수준은 아니었다.여러 해 동안 신학 교육은 주로 흥미가 있는 학생들에게칼빈과 몇몇 사람들이 강의하는 식으로 구성되었다.1558년에 위원회는 아카데미 설립 절차를 밟았다....그리고 여섯 개의 강의실이 있는 대학을 짓기로 합의했다.건물의 기초석은 그해 조금 후에 놓여졌지만 재정 부족으로1563년이 되어서야 완공되었다." (편집자 주: 개교는 1559년 6월 5일) - 존 칼빈과 떠나는 여행에서 발췌 - 조금 뒤에서 찍은 사진입니다.오른쪽의 작은 건물은 식당 겸 사무실인 것으로 생각되어집니다.방문했던 당시에는..

낭트 칙령 (7-6) (교회개혁사 마지막회)

제 7장. 프랑스에서의 개혁운동 7.6 낭트 칙령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8.3.5)  왕이었던 샤를르 9세는 무능하여 그가 왕위에 있던 1574년까지 프랑스는 혼란한 때였다. 그는 1574년 24세의 나이로 간헐적인 발작증 등 정신 이상으로 사망하였다. 이제 왕위는 앙리 3세에게로 이양되었다. 그는 1574년부터 1589년까지 15년간 왕위에 있었으나 우둔하고 유흥과 쾌락을 즐기는 불량아였다. 그는 한 광신적 수도사에 의해 피살되므로써 발로이스왕가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이제 왕위는 나바르의 앙리에게로 돌아갔다. 그는 케더린의 딸 마가렛의 남편으로서 위그노였다. 성 바돌로매의 날 대학살에서 살아남은 그는 이제 36세의 장년이었다. 그가 앙리 4세란 이름으로..

교회개혁의 선구자들 (7-1 프랑스에서의 개혁운동)

제 7장. 프랑스에서의 개혁운동 7.1 교회개혁의 선구자들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8.2.21)  지금까지 독일, 스위스, 영국, 스코틀랜드 등지에서 일어난 교회 개혁운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제 우리의 관심을 프랑스로 옮겨 그곳에서의 교회 개혁운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6세기 당시, 프랑스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였다. 루이 11세(1461~1483), 루이 12세(1498~1515)를 거쳐 프란소와 1세(Francois, 1515~1547)에 이르러 프랑스는 절대 왕권을 확립하였고, 강력한 중앙집권 정부를 형성하였다. 특히 프란소와 1세는 이탈리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당시의 교황 레오 10세와 볼로냐조약(Concordat of Bologna..

개혁자 존 낙스 (6-2)

제 6장.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운동 6.2 개혁자 존 낙스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8.2.5)  해밀톤의 순교에서부터 종교개혁이 성취되기까지 30여 년 간 약 20여명의 프로테스탄트들이 순교자의 길을 갔는데. 이들 가운데 훗날 낙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은 죠지 위샤트(George Wishart)였다. 그는 낙스를 회심(?)시켜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로 하여금 스코틀랜드 전체를 그리스도에게 바치게 했던 사람이었다.   죠지 위샤트가 영국에서 돌아와 관헌의 눈을 피해 성경을 강해하러 다닐 때 낙스는 에딘버러시에서 떨어진 어느 시골 귀족집에서 가정교사로 일하고 있었다. 이 당시 낙스는 이미 성직자였으나 교회를 섬기는 것 외..

교회개혁은 왜 일어났는가? (1-3-1)

제 1장 교회개혁이란 무엇인가?  3-1. 교회개혁은 왜 일어났는가?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2.28)  때가 찬 경륜   1400년대를 마감하고 1500년대가 시작되는 한 시대의 변혁기에 유럽에서는 실로 엄청난 정신적 변화가 조용한 혁명을 예비하고 있었다. 이 변화는 매우 복합적인 것이었다. 정치질서나 문화현상, 세계관뿐만 아니라 교회중심의 구조(ecclesiastical structure)는 새로운 개편을 요청하고 있었다. 말하자면 16세기에 접어들면서 로마 가톨릭교회와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던 중세문화가 붕괴되고 서구문명의 새로운 단계의 중요한 양상들이 그 실체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16세기에는 이전 시대와는 선명하게 구별되는 세계관, 인생..

교회개혁의 의의 (1-2)

제 1장 교회개혁이란 무엇인가?  2. 교회개혁의 의의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2.28)   그러면 교회개혁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보여준 의미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교회개혁이란 원시 그리스도교 회복운동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교회개혁이란 그리스도 교회의 본래적인 신앙과 생활에서 이탈한 중세 로마 가톨릭교회의 형식화된 의식적 생활에서 떠나 이탈한 중세 로마 가톨릭교회의 형식화된 의식적 생활에서 떠나 본래적 기독교 혹은 사도적 교회에로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즉 하나님의 말씀에서 떠난 성례적적인 제도(Sacramental system)와 공적(功績)사상 등 교회적 율법주의(Ecclesiastical legalism)와 비복음적인 전통에서 벗..

한국의 개혁교회가 추구할 것

한국의 개혁교회가 추구할 것 김영규 교수 (2014.1.28)  “완성된 개혁주의 신학은 신학적 논제에 대한 모든 답변 가지고 있어” 정통개혁신학은 17세기 이후에는 거의 사라졌다고 해야 한다. 따라서 개혁신학과 관련해서 그 이후 시대로부터 배울 것은 없다. 그 이후 시대에는 다만 그렇게 개혁된 신학과 얼마나 일치하느냐에 달려 있다. 칼빈의 신학은 개혁신학의 출발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칼빈의 신학이 개혁신학으로서 의미를 갖는 것은 그의 신학이 루터의 신학과 같은 종교개혁신학을 받아들이되 ①루터의 신학에 있어서 로마카톨릭 신학에 의해서 타락한 부분들을 제거한 어거스틴의 순수한 신학의 회복에 기여하지 못한 부분이나 ②어거스틴의 신학에 있어서 카톨릭 신학으로부터 타락의 원인이 되었던 부분들을 제거한 신학적 관..

개혁파 정통신학 서론 수업 중 (한병수 교수)

한병수 교수의 개혁파 정통신학 서론(Reformed Orthodoxy Theology: Prolegomena) 수업 중에서 김진곤 목사 정리 (2018.3.27)  개혁주의 신학의 본질 (Essentia reformati theologiae) 1. Sola et tota scriptura : 가장 성경적인 신학 a. 성경에 기록된 것은 한 오타도 간과하지 말아야 하는 하며(tota), 동시에 성경의 기록은 인간의 욕망과 호기심을 따라 함부로 범하지 말아야 하는 침묵의 경계선(sola).b. 성경에 언급되지 않은 것에 대한 입장c. 성경이 성경을 해석하는 원리 (Scriptura sui ipsius interpres)d. 칼빈의 tota scriptura : 전 성경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강조e. 삼위일체 ..

[교회사 산책 6] 초기 기독교 박해의 역사

교회사 산책 (6)  초기 기독교 박해의 역사닉네임: 나그네 / 칼빈장로교회 (2017.3.20)  1. 박해의 시대 그리스도교에 대한 박해는 처음 3세기 동안 유대인에게서 시작해서 이방인들의 박해로 이어졌다. 대박해 시대 속에 살았던 교부 터툴리안의 유명한 말이 전해진다. “그리스도인들의 피는 교회의 씨앗이다” 이 한 마디가 긴 박해시대에 굴하지 않고 세워진 교회의 숭고함을 보여준다.   2. 유대인들의 박해 유대인들은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아 죽이고, 스데반, 사도 야고보를 처형했다. 이들은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끝없는 적개심으로 불타올랐다. 그러나 그들의 증오의 칼끝은 오히려 자신들을 향하게 하였다. 유대인들은 트라얀과 하드리안의 치하에 혹독한 핍박을 받았고 한 때 반란 세력을 모아 저항하고자 했다...

정통개혁장로교 신학의 회복의 길에 서서

정통개혁장로교 신학의 회복의 길에 서서 김인석 목사 / 칼빈장로교회 (2010.11.30)  장로교회가 한국 땅에 심어진지도 오래다. 그러나 그 뿌리가 되는 역사적 개혁장로교회에 대한 이해는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탐구는 저마다 노선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 무엇보다도 개혁장로교회 고백서들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야할 필요성이 절대적이다. 그 가운데에서 장로교표준문서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자체의 내용에 대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거기 참여했던 각 지역의 총대들의 신학에 대한 이해는 거의 전무하다 하겠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대륙개혁자들과 스코틀랜드를 포함한 영국 장로교 성직자들에 의해 승리로 이끈 개혁 장로교회 고백서라 하겠다. 총대들 중에는 독립파 회중교회 성직자들은 후에 고백서를..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 배현주 목사 / 주교개혁장로교회 (2016.11.16)  “하나님의 작정은 창세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하신 불변적인 것”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제3장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의 3절에 다음과 같이 선택론을 선언했다. “하나님께서 그의 영광을 위하여 사람들과 천사들 가운데 얼마는 영원한 생명을 얻도록 예정하셨고 또 달리 얼마는 영원한 사망에 이르도록 예정하셨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전택설이다. 웨스트민스터 총회 의장이었던 윌리엄 트위스의 개혁주의 예정론에 “하나님의 신적 작정의 첫 자리는 오직 하나님께 영광”(Soli Deo Gloria)이라고 진술하였다.  하나님께서 그의 영광을 위하여서 하나님의 나라(De Civitate Dei)를 작정하셨는데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