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 5

‘양태론’이 이단인 이유는 무엇인가

‘양태론’이 이단인 이유는 무엇인가 조덕영 목사 (2012.9) / 김진영 기자  양태론(樣態論, Modalism, 양태론적 단일신론의 준말)은 양식론(樣式論)이라고도 불리는 데, 전통적 유일신 신앙(단일신론)은 고수하면서 삼위일체를 설명하고자 했던 기독교의 이단 이론을 말한다. 본래 이 단어는 독일 신학자 아돌프 폰 하르낙(Adolf Von harnack, 1851-1930)이 삼위일체에 대해 이단적 교리를 가지고 있던 노에투스와 프락세아스, 3세기 사벨리우스, 이 세 사람의 공통적 요소를 말하려고 도입한 단어였다.양태론자들은 하나님은 한분이시고 그리스도는 완전한 신성을 가졌으므로 아버지와 아들은 하나라는 입장을 고수하였다. 한분 하나님께서 모양만 성부, 성자, 성령의 다른 형식..

위험, 이단 등 2024.06.19

삼위일체 교리 입증

삼위일체 교리 입증 김명도 박사 (튤립 신학 연구원장) “여호와의 증인” 교파에서는 삼위일체 교리를 부인한다. 왜 부인하느냐고 물으면 성경에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렇게 말한다면 여호와의 증인의 여호와라는 말도 원문성경에는 없다. 구약의 워문에서는 YHWH 라는 네 글자 (이것을 신학에서는 tetragram, 4 문자라고 한다) 로만 표기 되어있다. 유대인들조차 이 단어를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몰랐다. 그러다가 유대인 학자들이 "ADONAI“ 이라는 말을 사용하다가 ADONAI의 모음자를 YHWH 에 붙여서 YAHOWAI (야호와이) 가 되었다. 영어 성경에서는 Jehovah라고 번역하였는데 정확한 번역은 아니다. 아무도 tetragram을 어떻게 정확히 발음하는지 모른다. 영어의 Jehovah도 tet..

천국에서 삼위일체의 하나님을 어떤 형태로 뵙는지에 관한 대화

대화 출처: https://open.kakao.com/o/g7UYmxQe (오픈채팅: 기독교인들의 교제와 성경대화) (채팅 특성상 즉석에서 오고 간 대화라 더 부족함이 있는 점 참고하셔서 유익이 되길 바랍니다.) ​ ​ 천국에서 삼위일체의 하나님을 어떤 형태로 뵙는지에 관한 대화 (2018.8쯤) 무명: 나중에 천국에 가면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님 두 분을 뵙는 게 맞는 건가여? 영으로 계시니 우리가 알 수 없는 건가요? 일상에서 어떤 식으로 생각할 수 있을까요? 기독교(Sola): 네 뵙습니다. 다만 삼위일체의 하나님을 만나는 형태가 사람이 생각하는 형태와 방식은 아닙니다. 잠깐 다른 분들을 위해서도 삼위 하나님의 본질에 대해서 신성과 인성적 측면에서 간단히 정리를 하면, -오직 신성만 가지심: 성부 하..

신앙 대화 2023.07.24

[전문] 아타나시우스 신조 (420~500년 추정)

[전문] 아타나시우스 신조 (420~500년 추정) 1) 누구든지 구원을 받고자 하는 사람은 모든 것 이전에 먼저 이 신앙을 소유해야 한다. 2) 누구든지 이 신앙을, 완전하고 순결하게 지키지 않으면, 틀림없이 영원한 멸망을 받을 것이다. 3) 이 신앙이란 다음의 것들이다. 삼위(三位)자체가 일체(一體)이시고, 일체(一體)자체가 삼위이신, 유일하신 하나님을 믿는 것이다. 4) 이 삼위는 혼합한 것도 아니요, 그 본질을 나눈 것도 아니다. 5) 왜냐하면 아버지의 한 인격(위)과 아들의 다른 인격(위), 또한 성령의 또다른 인격(위)이 계시기 때문이다. 6) 그러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신격은 모두가 다 하나요 그 영광도 동일하며 그 위엄도 함께 영원한 것이다. 7)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그 자체로 존재한다..

교리 자료 2023.04.29

어거스틴의 '삼위일체' 책 요약

어거스틴의 '삼위일체' 책 요약 요약자: 미상 제1권 이 책을 쓰는 목적은 이성을 오용해서 삼위일체 신앙을 공격하는 궤변가들을 반박하려는 것이다. 그들은 믿음으로 출발하는 것은 체면 손상으로 여기며 이성을 도착적으로 사랑한다. 그들의 오류는 3가지이다. 성경은 이러한 오류를 제거하면서 점진적으로 신적 사물로 우리를 인도한다. 진정한 불사는 무엇인가? 우리가 신적 사물을 이해하도록 신앙이 우리를 양육한다. 이 글은 삼위일체에 관하여 논할 때 주 하나님의 도움을 받아 삼위일체는 유일 진정한 한 분 하나님이시며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동일한 본질이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는 것을 설명하겠다. 독자들이 이 글을 이해하지 못한다 해도 이는 저자의 잘못이 아니다. 정통신학에서 삼위일체에 관하여,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