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교회 12

결혼과 언약: 그리스도인 결혼의 전제조건

결혼과 언약: 그리스도인 결혼의 전제조건 [십계명(59) - 제7계명(4)]​한길교회 주일오후예배 설교문 (2015.4.12)​​설교본문낭독: 창세기 2장 18-25절; 고린도후서 6장 14-18절신조 낭독: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제24장 3절;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제139문답​​서론​언약으로서의 십계명​십계명 강해를 시작한 지 제법 되었습니다만, 십계명을 처음 배울 때에 십계명의 개론적인 내용을 배우면서 십계명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성격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그 때 말씀드리기를 십계명을 단순하게 ‘하나님의 명령’으로만 이해해서는 안되고 여러 가지 측면으로 생각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그 중에서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것은 십계명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언약의 말씀’이라는 사실입니다..

한국의 개혁교회가 추구할 것

한국의 개혁교회가 추구할 것 김영규 교수 (2014.1.28)  “완성된 개혁주의 신학은 신학적 논제에 대한 모든 답변 가지고 있어” 정통개혁신학은 17세기 이후에는 거의 사라졌다고 해야 한다. 따라서 개혁신학과 관련해서 그 이후 시대로부터 배울 것은 없다. 그 이후 시대에는 다만 그렇게 개혁된 신학과 얼마나 일치하느냐에 달려 있다. 칼빈의 신학은 개혁신학의 출발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칼빈의 신학이 개혁신학으로서 의미를 갖는 것은 그의 신학이 루터의 신학과 같은 종교개혁신학을 받아들이되 ①루터의 신학에 있어서 로마카톨릭 신학에 의해서 타락한 부분들을 제거한 어거스틴의 순수한 신학의 회복에 기여하지 못한 부분이나 ②어거스틴의 신학에 있어서 카톨릭 신학으로부터 타락의 원인이 되었던 부분들을 제거한 신학적 관..

목사를 무책임하게 세워서는, 장로교단의 개혁은 결코 불가능하다!

목사를 무책임하게 세워서는, 장로교단의 개혁은 결코 불가능하다!​장대선 목사 (2021.4.13)​​장로교회들의 교단들, 특히 한국의 장로교단들이 대부분 신학과 신앙의 기초로 삼는 것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다. 물론 세부적으로는 1647년에 작성된 초판버전을 받는 교단들도 있고, 이후에 수정되고 증보된 버전을 받는 교단들도 있지만, 공통적으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 표명하는 신학과 신앙에 근거해서 교회정치 또한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그런데 거의 모든 종교개혁의 신조들이 그 신조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근거는 항상 ‘성경’에 있다. 즉 성경의 진리에 근거하여 신조를 고백하고, 성경의 진리에 근거하는 신조를 따른 실천으로서 교회정치와 예배모범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처럼 성경에 근거하는 교회정치를 수..

교회 정치 2024.10.20

개혁신학의 독특성과 한국장로교회의 정체성

개혁신학의 독특성과 한국장로교회의 정체성 김영규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겸임교수)  들어가는 말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적 정체성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관계하는 총회가 1936년 6월 11일의 미국 정통 장로교회 총회이다. 그 총회는 공식적으로 ‘모든 현대주의’와 ‘불신앙의 다른 형태들’에 대한 반대하고 동시에 신학적으로 ‘신구약의 무오성과 신적 권위‘에 대한 ‘엄격한’ 선언과 함께 ‘인간에게 알려진 성경에 대한 가장 신실한 해석’으로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요리문답들을 채택함으로 ‘장로교 대 전통의 가장 순수한 직접적 선’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선언서에서 ‘기독교의 가장 순수한 형태’로 정의된 그 ‘개혁신앙’은 ‘기독교의 일반적 교리’(삼위일체, 창조, 그리스도의 신성, 그리스도의 동정녀 ..

개혁(장로)교회의 형성과 발전 과정

개혁교회의 형성과 발전과정  김영환 역  1. 신약교회의 설립과 고대교회  1. 오순절 성령강림을 기점으로 예루살렘에 신약의 교회가 태동하게 되었고, 사도들의 복음 전파로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각 지역에 교회가 설립되었고, 사도들과 선지자들에 의해 교회의 터가 놓여졌다(사도행전 참조).  2. AD 70년을 기점으로 신약의 교회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교회는 대내외적으로 핍박과 이단의 위기를 겪으면서도 보존, 성장해 갔다.  3. 로마의 황제 콘스탄틴의 개종과 함께 밀란의 칙령(313년)으로 교회는 제국 안에서 종교의 자유를 얻게 되었다. 이때 아리우스와 아타나이스우 사이에 기독론 논쟁이 일어났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25년 니케아 회의가 열렸다.  4. 제국의 국교가 된 교회는 점점 성..

장로 정치 제도의 기원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FjAIfqjftdA&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29 장로 정치 제도의 기원 (오디오 지원)​배현주 목사 (2017.11.22)​​사도들은 구약을 계승하면서 그 장로 제도를 새 언약의 교회를 세우는 원리로 삼음​사도적 보편 교회의 치리회로서 장로회 제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보존하며 사도적 교회를 세우는 원리로서 중요​장로 제도(the Presbytery System)는 구약 이스라엘 공동체 지파들의 족장 정치 제도에 기인한다. 어려서부터 유대인으로 자라온 사도들은 구약 정치 제도를 잘 알고 있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새 언약 아래에 오셔서 모든 구..

오디오 칼럼 2024.06.08

개혁교회와 장로교회 차이점

개혁교회와 장로교회 차이점 한유식 목사 (2018. 3) 좋은 정보를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장로님께서 전해주신 글을 보면서 한국의 장로교회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됩니다. 그중에서 특히나 위에 발췌한 문구를 보면서 개인적으로 장로교회와 개혁교회의 가장 큰 차이를 드러내는 핵심문구로 여기고 있으며, 이에 근거해 한국교회의 미래도 어느 정도 예상해보게 되는데 물론 그 미래는 밝지 않은 미래입니다. 장로님이 말씀하셨듯이 오늘날 개혁신학을 추구하는 한국장로교회에서 하이델베르크요리문답을 비롯해 벨직신앙고백서, 도르트신조를 교육하지 않는 곳은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일들은 한국장로교회에서 유럽의 개혁교회를 칼빈주의안에 있는 같은 교회로 보는 시각이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심지어 오늘 한국의 장로교회안..

북미에 있는 개혁장로교회 교단들에 관한 대화​

대화 출처: https://open.kakao.com/o/g7UYmxQe (오픈채팅: 기독교인들의 교제와 성경대화) (채팅 특성상 즉석에서 오고 간 대화라 더 부족함이 있는 점 참고하셔서 유익이 되길 바랍니다.) ​ ​ 북미에 있는 개혁장로교회 교단들에 관한 대화​ ​ (2022.6쯤) 무명: 북미 개혁교단에는 어떤 교단들이 있고 그 교단들마다 어떤 역사와 특징이 있는지 알 수 있는 글이 있을까요? 현재 가장 바른 노선을 유지하고 있는 북미 개혁교단이 어딘지 알 수 있을까요? ​ Sola: RPCNA와 ARPC, OPC, RCUS, KPCA, FRCNA 등의 교단들이 있습니다. 제가 아는 한 가장 바른 노선을 취하는 교단은 RPCNA(북미개혁장로교회)입니다. 대부분 스코틀랜드 장로교도들이 미국으로 넘어온..

신앙 대화 2024.02.26

공적 신앙고백의 전수와 ‘설교’

공적 신앙고백의 전수와 ‘설교’ 기독교개혁신보 (2015.8.25) 일반적으로 조직교회의 형태를 분류함에 있어서 ‘로마가톨릭’은 그야말로 가시적인 로마가톨릭교회조직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사제들의 양성 또한 중앙집권적으로 일사분란하게 이뤄진다. 반면에 그러한 조직의 형태를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회중교회’ 혹은 ‘재세례파(Believer’s Church라고도 한다)’의 경우에는 그와는 정반대로 회중의 원하는 바에 부합하는 목회자를 자체적으로 결정하여 세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장로교회들의 경우에 지교회의 목사를 세우는 것은 노회와 지교회의 의사가 절충되는 형태인데, 마치 로마가톨릭의 체제와 회중교회의 체제가 절충된 듯한 모양새를 보인다. 물론 그러한 장로교회의 모양새는 두 체제를 절충한 것이 아니..

장로 정치 제도의 기원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FjAIfqjftdA&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29 장로 정치 제도의 기원 (오디오 지원)​배현주 목사 (2017.11.22)​​사도들은 구약을 계승하면서 그 장로 제도를 새 언약의 교회를 세우는 원리로 삼음​사도적 보편 교회의 치리회로서 장로회 제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보존하며 사도적 교회를 세우는 원리로서 중요​장로 제도(the Presbytery System)는 구약 이스라엘 공동체 지파들의 족장 정치 제도에 기인한다. 어려서부터 유대인으로 자라온 사도들은 구약 정치 제도를 잘 알고 있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새 언약 아래에 오셔서 모든 구..

교회 정치 2023.11.30

장로교회를 세우는 원리

장로교회를 세우는 원리 김인석 목사 (2019.1.29) 장로교회는 노회가 제대로 기능을 해야 교회가 산다. 장로회 정치에서 완전한 교회는 노회다. 지교회는 회중들이 예배하고 교제하는 유기적 의미의 교회다. 지교회의 기구적 완전성은 노회가 세워졌을 때 가능해진다. 주님의 몸된 교회를 위하여 수종들게 될 교회의 직원들을 가르치고 시험하여 안수하고 지교회에 파송한다. 성경을 해석하고 교리를 확정하며 각종 모범들을 정립하고 재판건에 대하여 주님의 이름으로 시벌하고 회개한 자들을 해벌한다는 면에서 장로정치는 노회정치이며 장로교회는 노회로부터 확립된다. 장로정치의 치리회는 당회, 노회, 대회 및 총회로 이루어져 있다. 당회와 노회는 상비회이고 정기회이다. 대회와 총회는 임시회일 뿐만 아니라 노회들의 총합이다. 치..

교회 정치 2023.05.10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에서 목사고시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에서 목사고시 김인석 목사 (2010.8.18) 웨스트민스터 회의 스코틀랜드 총대로 참석했던 알렉산더 핸더슨(Alexander Henderson)의 "스코틀랜드 교회 정치와 질서"라는 책에서 목사들에게 주어진 시험의 내용들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이와같이 개별 당회에서 잘 알려지고 추천되었고, 더 큰 장로회에 지명된 자는 거기서 다음과 같이 시험을 치룬다. 언어의 능숙함(라틴어, 헬라어, 히브리어), 성경해석, 신앙논쟁, 가르치는 은사, 교회역사와 연대기 등. 첫째로 그의 삶과 생활태도에 관해서, 만일 그가 부도덕하거나 부끄러운 점이 발견된다면 다른 어떤 시험도 치를 수 없었다. 이와 같이 목사는 그 책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합한 점이 발견되고 시험받으며, 공석인 목회지에 파송되었..

교회 정치 2023.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