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나단 에드워즈 2

우리는 장로교인가, 회중주의인가?

우리는 장로교인가, 회중주의인가? ​ ​기독교개혁신보(합신) (2016.10.6) ​ 최근에 자주 존 오웬을 비롯한 회중주의 신학자들로부터 장로교 신학의 전통을 찾으려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불편하게도 회중주의와 장로교는 엄연히 다르다. ​​ 실제로 17세기 영국 신학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거부하고, 회중주의 신학을 택함으로 스콜라주의의 길을 걷다가 몰락했다. 이것은 정통신학으로 확증된 장로교 신학을 거부한 결과이다. 당시 올리버 크롬웰을 등에 업고 회중주의자들이 장로교 목사들을 내 쫓았던 것이다. ​​ 회중주의자들은 사보이 선언(1658년)을 통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대소요리문답, 교회정치 및 예배모범을 폐기했다. 그 결과 영국 내 신학적 광맥은 끊어지고, 존 오웬으로 대표되는 회중주의 ..

교회 정치 2024.05.09

목회는 방법론이 아니다

목회는 방법론이 아니다 배현주 목사 (2017.1.11) 목회는 방법론이 아니다. 주님과 함께 죽고 주와 함께 사는 것이다. 그것이 목회다.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그와 함께 죄에 대하여서 죽고 그와 함께 하나님을 향하여서 의에 대하여서 사는 자가 아니라면 모두 삯꾼이다. 삯꾼은 자기가 먼저 주와 함께 죽고 주와 함께 살려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삯꾼들이 사방에 널려있는 시대에 목회는 하나의 방법론이 되었기 때문이다. 목회를 방법론으로 생각하고 접근하는 목사들이 팽배한 시대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교회 역사 가운데 목회를 방법론으로 시작한 부류들이 있었다. 그것은 18세기에 라리탄 계곡의 후릴링겐이며 그의 제자들로서 조나단 에드워드와 길버트 테넌트이다. 조나단 에드워드는 알려진 자로서 최초로 방법론으로 목..

교회 정치 2024.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