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나단 에드워즈 4

우리는 장로교인가, 회중주의인가?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33mRHf5Fcg8&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31    우리는 장로교인가, 회중주의인가?​​기독교개혁신보(합신) (2016.10.6) ​최근에 자주 존 오웬을 비롯한 회중주의 신학자들로부터 장로교 신학의 전통을 찾으려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불편하게도 회중주의와 장로교는 엄연히 다르다.​​실제로 17세기 영국 신학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거부하고, 회중주의 신학을 택함으로 스콜라주의의 길을 걷다가 몰락했다. 이것은 정통신학으로 확증된 장로교 신학을 거부한 결과이다. 당시 올리버 크롬웰을 등에 업고 회중주의자들이 장로교 목사들을 내 쫓았..

오디오 칼럼 2024.10.31

조나단 에드워즈에 대한 바빙크와 워필드의 부정적인 평가

조나단 에드워즈에 대한 바빙크와 워필드의 부정적인 평가 크리스찬타임스 (2018.12.30)  1. 들어가는 말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1703-1758)는 누구인가? 정이철 목사가 에드워즈 자신의 신비적 체험과 부인 사라의 신비적 체험 등을 기점으로 꾸준하게 비평을 전개하고 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정이철 목사 외에도 상당히 저명한 많은 연구자들이 에드워즈에 대한 비판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 비평의 내용들은 매우 심각해 보인다. 에드워즈에 대해서 높은 평가가 있는 반면에 매우 심각한 비평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에드워즈를 비평한 학자들은 우리가 신학을 높이 평가하는 위인들이 많다. 대표적으로 벤자민 워필드(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 1851-..

위험, 이단 등 2024.07.10

우리는 장로교인가, 회중주의인가?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33mRHf5Fcg8&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31   우리는 장로교인가, 회중주의인가?​​기독교개혁신보(합신) (2016.10.6) ​최근에 자주 존 오웬을 비롯한 회중주의 신학자들로부터 장로교 신학의 전통을 찾으려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불편하게도 회중주의와 장로교는 엄연히 다르다.​​실제로 17세기 영국 신학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거부하고, 회중주의 신학을 택함으로 스콜라주의의 길을 걷다가 몰락했다. 이것은 정통신학으로 확증된 장로교 신학을 거부한 결과이다. 당시 올리버 크롬웰을 등에 업고 회중주의자들이 장로교 목사들을 내 쫓았던..

교회 정치 2024.05.09

목회는 방법론이 아니다

목회는 방법론이 아니다 배현주 목사 (2017.1.11) 목회는 방법론이 아니다. 주님과 함께 죽고 주와 함께 사는 것이다. 그것이 목회다.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그와 함께 죄에 대하여서 죽고 그와 함께 하나님을 향하여서 의에 대하여서 사는 자가 아니라면 모두 삯꾼이다. 삯꾼은 자기가 먼저 주와 함께 죽고 주와 함께 살려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삯꾼들이 사방에 널려있는 시대에 목회는 하나의 방법론이 되었기 때문이다. 목회를 방법론으로 생각하고 접근하는 목사들이 팽배한 시대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교회 역사 가운데 목회를 방법론으로 시작한 부류들이 있었다. 그것은 18세기에 라리탄 계곡의 후릴링겐이며 그의 제자들로서 조나단 에드워드와 길버트 테넌트이다. 조나단 에드워드는 알려진 자로서 최초로 방법론으로 목..

교회 정치 2024.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