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개혁 5

교회개혁은 왜 일어났는가? (1-3-2)

제 1장 교회개혁이란 무엇인가?  3-2. 교회개혁은 왜 일어났는가?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2.28)  국가주의(민족주의)의 대두와 교회체제의 붕괴  교회개혁의 역사적, 혹은 정치적 배경으로 국가주의 혹은 민족주의를 들 수 있다. 이미 14세기 무렵부터 민족국가 (nation state)들이 교황청과 제국 하에서 이룩된 서부 유럽의 통합을 위협하기 시작하였다. 중세는 하나의 국제적인 국가였다고 할 수 있다. 교회를 떠나서는 국가라는 것을 상상할 수 없었다. 교회가 하나의 국가로서의 기능을 행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민족주의의 대두는 중세의 보편적 교회중심체계에 균열을 가져왔다. 중세 말에 이르러 국가에 대한 근대적 개념이 점차로 발달하게 되자 영..

교회개혁은 왜 일어났는가? (1-3-1)

제 1장 교회개혁이란 무엇인가?  3-1. 교회개혁은 왜 일어났는가?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2.28)  때가 찬 경륜   1400년대를 마감하고 1500년대가 시작되는 한 시대의 변혁기에 유럽에서는 실로 엄청난 정신적 변화가 조용한 혁명을 예비하고 있었다. 이 변화는 매우 복합적인 것이었다. 정치질서나 문화현상, 세계관뿐만 아니라 교회중심의 구조(ecclesiastical structure)는 새로운 개편을 요청하고 있었다. 말하자면 16세기에 접어들면서 로마 가톨릭교회와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던 중세문화가 붕괴되고 서구문명의 새로운 단계의 중요한 양상들이 그 실체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16세기에는 이전 시대와는 선명하게 구별되는 세계관, 인생..

교회개혁의 의의 (1-2)

제 1장 교회개혁이란 무엇인가?  2. 교회개혁의 의의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2.28)   그러면 교회개혁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보여준 의미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교회개혁이란 원시 그리스도교 회복운동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교회개혁이란 그리스도 교회의 본래적인 신앙과 생활에서 이탈한 중세 로마 가톨릭교회의 형식화된 의식적 생활에서 떠나 이탈한 중세 로마 가톨릭교회의 형식화된 의식적 생활에서 떠나 본래적 기독교 혹은 사도적 교회에로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즉 하나님의 말씀에서 떠난 성례적적인 제도(Sacramental system)와 공적(功績)사상 등 교회적 율법주의(Ecclesiastical legalism)와 비복음적인 전통에서 벗..

교회개혁의 이해 (1-1)

제 1장 교회개혁이란 무엇인가?  1. 교회개혁의 이해  이상규,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 개혁주의 학술원 (2007.2.28)  -- 16세기 종교개혁의 역사를 간명하게 기술한 교회개혁사는 루터, 쯔빙글리, 칼빈, 존 낙스 등의 종교개혁자들의 교회개혁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앞으로 매주 단위로 책의 내용을 차례로 연재할 것이다. --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 대학의 젊은 신학 교수였던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가 그곳의 대학교회의 문 앞에 95개항의 논제(Die 95 Thesen)를 내건 사건은 16세기 교회개혁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 루터는 면죄부 판매 등 당시 교회가 가르치는 잘못된 주장들에 대해 학문적인 토론을 열 계획이었지 교회개..

중세 유럽, 종교개혁 전야에 살았던 유아 및 어린이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중세 유럽, 종교개혁 전야에 살았던 유아 및 어린이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강윤석 강도사 (생략) 어린이의 중요성, 어린이가 얼마나 고귀한 가치를 지닌 존재인지 하나님의 말씀을 준비하면서 느낀 점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 우리가 잘 알다시피 중세 유럽은 로마 천주교회가 지배하던 시대였다. 모든 정치와 문화나 예술은 모두 로마 천주교회의 지배하에 있었고, 그 어떤 것도 천주교회의 영향 밖에 있는 것이 하나도 없었다. 당시로서는 로마 천주교회의 지배를 거부한다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런 시대적인 상황은 당연히 로마 천주교회의 수장인 교황과 그 밑의 사제들의 권위를 매우 막강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철저한 계급 사회였던 중세 유럽에서 사제는 가장 최상의 계급이었다. 그 어떤 귀족도, 심지어는 일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