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례 5

세례 받을 때 '성령 세례' 받는 것의 여부에 대한 대화

대화 출처: https://open.kakao.com/o/g7UYmxQe(오픈채팅: 기독교인들의 교제와 성경대화)(채팅 특성상 즉석에서 오고 간 대화라 더 부족함이 있는 점 참고하셔서 유익이 되길 바랍니다.)​​세례 받을 때 '성령 세례' 받는 것의 여부에 대한 대화​(2018.6쯤)​제가 오늘 처음 간 교회 설교 시간에 세례를 주는데 세례 받을 때 성령 세례도 같이 받는다고 목사님이 말씀하던데 맞나요?  기독교 (Sola):목사님께서 어떤 의미로 하셨는지 앞뒤 문맥을 들어봐야 잘 알 수 있겠지만 글 쓰신 내용 자체로만 본다면 세례를 받는 순간에 성령 세례가 임하는 것은 아닙니다. 성경적 입장의 성령 세례는 '거듭나게 하시는 성령 하나님의 역사'를 가리킵니다. 요한의 물 세례부터의 세례는 거듭남의 표징으..

신앙 대화 2024.06.24

세례인가? 침례인가?

세례인가? 침례인가? 박일민 교수 / 칼빈대학교 신학대학원장·조직신학 (2008년경 추정)  예수님께서는 “너희는 가서···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마 28:19)는 명령을 남기시고 승천하셨다. 그러므로 세례는 예수님의 명령이요, 초대교회에서부터 내려오는 오랜 전통이다. 교회 안에 세례 자체를 반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세례가 행해지는 방법이나 대상에 대해서는 서로 의견을 달리하거나, 심지어는 극한 대립 양상까지 보이기도 한다. 이 문제의 해결은 세례의 근본적인 의미를 바로 이해하는 데서부터 출발되어야 한다.   1. 세례의 의미 성경에 사용된 세례라는 말은 본래 ‘물에 적심, 담금, 찍음, 염색, 씻음, 목욕’ 등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

[마 3:11] '불로 세례를 주신다'의 '불'은 성령 하나님을 뜻함에 대한 대화

대화 출처: https://open.kakao.com/o/g7UYmxQe (오픈채팅: 기독교인들의 교제와 성경대화) (채팅 특성상 즉석에서 오고 간 대화라 더 부족함이 있는 점 참고하셔서 유익이 되길 바랍니다.) ​ ​ [마 3:11] '불로 세례를 주신다'의 '불'은 성령 하나님을 뜻함에 대한 대화 ​(2018.6쯤) ​ 무명: 여기서 '불로 세례'는 심판을 말하나요? 나는 너희로 회개케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주거니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나보다 능력이 많으시니 나는 그의 신을 들기도 감당치 못하겠노라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실 것이요 [마태복음 3:11] 기독교(Sola): 성령 하나님을 칭할 때 '불'이라는 용어를 성경 곳곳에서 쓰일 때가 있습니다. 가령 사도행전에서 '불의 혀 같이..

신앙 대화 2023.09.26

교회의 성원으로 공식적으로 인치는 유아세례

교회의 성원으로 공식적으로 인치는 유아세례 허순길 박사 “아기는 부모와 같이 하나님의 언약과 교회에 속해 있어” 태어나는 아기는 부모의 작품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아담으로부터 재생산하시는 하나님의 피조물이다(시 139:14-16). 하나님의 형상을 따른 참으로 신묘막측하고 은밀한 생명으로 지음받는다. 그 중에도 특별히 신자의 자녀는 나면서부터 하나님의 언약 안에 있다. 그 아기가 심히 귀하다. 신자가 하나님의 언약 안에 아기를 가지게 된 것은 그렇기 때문에 큰 복이며 은혜이며 감사의 제목이 된다. 하나님의 자녀이면서 나의 자녀를 기르는 부모는 얼마나 고귀한가? 왕자나 공주를 기르는 어미와 비교할 수 없이 복된 부모들이다. 신자의 아기는 부모와 같이 하나님의 언약에 속해 있고 교회 공동체에 속해 있다. 그 ..

유아세례에 관한 대화

대화 출처: https://open.kakao.com/o/g7UYmxQe (오픈채팅: 기독교인들의 교제와 성경대화) (채팅 특성상 즉석에서 오고 간 대화라 더 부족함이 있는 점 참고하셔서 유익이 되길 바랍니다.) ​ ​ 유아세례에 관한 대화 (2018.7쯤) 기독교(Sola): 유아세례는 구약의 난지 8일 만에 그 자녀에게 할례를 베풀라고 하신 하나님의 명령에 따른 것을 이어간 것입니다. 이전 대화에서 율법에는 의식법, 제사법, 도덕법이 있다고 얘기한 적이 있습니다. 의식법과 제사법의 '형식'은 없어졌지만 정신은 도덕법으로 이어져 지금의 주일성수 등으로 이어진다고 말했었습니다. 그 중의 또 하나가 구약의 할례의 말씀을 이어간 유아세례입니다 유아세례를 주든 안주든 어느 쪽이든 상관 없다고 하면 안 됩니다...

신앙 대화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