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회 6

장로 정치 제도의 기원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FjAIfqjftdA&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29 장로 정치 제도의 기원 (오디오 지원)​배현주 목사 (2017.11.22)​​사도들은 구약을 계승하면서 그 장로 제도를 새 언약의 교회를 세우는 원리로 삼음​사도적 보편 교회의 치리회로서 장로회 제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보존하며 사도적 교회를 세우는 원리로서 중요​장로 제도(the Presbytery System)는 구약 이스라엘 공동체 지파들의 족장 정치 제도에 기인한다. 어려서부터 유대인으로 자라온 사도들은 구약 정치 제도를 잘 알고 있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새 언약 아래에 오셔서 모든 구..

오디오 칼럼 2024.06.08

우리는 장로교인가, 회중주의인가?

우리는 장로교인가, 회중주의인가? ​ ​기독교개혁신보(합신) (2016.10.6) ​ 최근에 자주 존 오웬을 비롯한 회중주의 신학자들로부터 장로교 신학의 전통을 찾으려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불편하게도 회중주의와 장로교는 엄연히 다르다. ​​ 실제로 17세기 영국 신학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거부하고, 회중주의 신학을 택함으로 스콜라주의의 길을 걷다가 몰락했다. 이것은 정통신학으로 확증된 장로교 신학을 거부한 결과이다. 당시 올리버 크롬웰을 등에 업고 회중주의자들이 장로교 목사들을 내 쫓았던 것이다. ​​ 회중주의자들은 사보이 선언(1658년)을 통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대소요리문답, 교회정치 및 예배모범을 폐기했다. 그 결과 영국 내 신학적 광맥은 끊어지고, 존 오웬으로 대표되는 회중주의 ..

교회 정치 2024.05.09

웨스트민스터 총대들의 겸손과 인내

웨스트민스터 총대들의 겸손과 인내 기독교 (Sola) (2018.6.23) 총대란 각 교단의 노회에서 총회로 보내는 대표자들을 의미합니다. 아래 그림은 '웨스트민스터 헨리 7세 기념 부속 예배당'에서 첫 모임을 가진 151명의 총대들이 추위를 피해서 웨스트민스터 수석 사제실 부속의 예루살렘 방으로 옮겨 일정을 이어서 회의한 어느 날의 한 모습을 시간이 지난 뒤 그린 것입니다. 당시에 없던 회중파 인물이 들어가는 등 정통교회와 다른, 회중파를 띄우기 위한 방향으로 각색이 많이 된 그림으로 알고 있어서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그림입니다. 이 그림에서 머리숱이 없는 오른쪽 분이 Philip Nye (필립 나이)라는 회중파(독립파) 총대입니다. 정통교회의 성경적 장로회 정치를 비판하는 모습입니다. 곧바로 참석자들..

노회의 개혁이 한국교회 개혁의 열쇠이다

노회의 개혁이 한국교회 개혁의 열쇠이다 김중락 장로 1. 노회가 교회의 단위이다. 2. 누가 노회의 회원인가? 3. 시찰(visitation)을 해야 노회이다. 4. 사역자의 사례, 노회의 책임이다. 5. 신학생의 선정, 교육, 그리고 사역지 배분도 노회의 책임이다. 6. 교회개척, 노회가 결정하고, 노회가 책임져야 한다. 1. 노회가 교회의 단위이다 다시 노회 시즌이다. 가을을 맞이하여 각 교단마다 총회와 노회를 열고 있다. ‘노회’(presbytery)라는 이름은 ‘장로회’의 줄임말이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장로교’란 말은 ‘장로회 교회’를 의미한다. 즉 장로회, 즉 노회를 가진 교회가 바로 ‘장로회 교회’인 것이다. 이 말은 노회가 장로회 교회의 핵심이고, 기본단위임을 말한다. 웨스트민스..

교회 정치 2024.03.08

노회분쟁, 법원으로 가져 갈 경우 각오해야 할 이유

노회분쟁, 법원으로 가져 갈 경우 각오해야 할 이유 ​ 소재열 목사 (2019.9.18) ​ ​ 장로회 관할을 배척하고 국가의 검을 이용하여 해결하려고 할 때 각오해야 할 요건 ​ 대한예수교장로회 제104회 총회(sola 주: 합동)를 앞두고 일부 노회들이 갈등으로 분쟁이 심화되고 있다. 노회 분립을 목적으로 분쟁이 야기될 경우도 없지 않다. 분립은 하나의 노회가 두 개의 노회로 나뉘어진 형태를 의미한다. ​ 종교내부의 분쟁에 있어서 법원은 하나의 교회나 혹은 노회가 두 개의 교회나 노회로 나뉘어지는 형태의 분열을 인정하지 않는다. 노회가 분쟁이 심화된다하더라도 여전히 하나의 노회라는 것이 법원의 일관된 판례입장이다. ​ 그렇다면 하나의 노회가 양측으로 나뉘어진 형태의 분쟁은 실익이 없고 소모적일 수밖에..

교회 정치 2023.12.14

장로 정치 제도의 기원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FjAIfqjftdA&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29 장로 정치 제도의 기원 (오디오 지원)​배현주 목사 (2017.11.22)​​사도들은 구약을 계승하면서 그 장로 제도를 새 언약의 교회를 세우는 원리로 삼음​사도적 보편 교회의 치리회로서 장로회 제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보존하며 사도적 교회를 세우는 원리로서 중요​장로 제도(the Presbytery System)는 구약 이스라엘 공동체 지파들의 족장 정치 제도에 기인한다. 어려서부터 유대인으로 자라온 사도들은 구약 정치 제도를 잘 알고 있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새 언약 아래에 오셔서 모든 구..

교회 정치 20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