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신학 7

개혁주의 신앙이란 무엇인가?

개혁주의 신앙이란 무엇인가? 김명도 교수 (튤립 교육 선교회)  사람들은 이라는 말을 즐겨 쓴다. 가끔 신문에 는 광고를 보는데 신앙노선이 개혁주의 라고 하여 예배에 참석해 보면 설교나 예배 양식이나 간에 개혁주의와는 거리가 아주 먼 경우를 너무 많이 보아왔다. 개혁주의 신학이 좋다는 말만 들었을 뿐, 실제로 개혁주의가 무엇인지 모르면서 단지 자신을 인정받고 싶어서 이런 거짓말 하는 목회자들이 상당히 많다. 목회자는 진리를 바로 분변하여 자신을 부끄럼 없는 하나님의 종으로 드려야 한다. 바로 배우고 바로 살고, 바로 남에게 전해야한다. 먼 훗날 이 땅의 장막 생활이 끝나고 하나님 앞에 서는 날 하나님에게 대답할 준비를 하면서 살아야 한다. 그 옛날 Scotland의 ‘언약파’들(Covenanters)..

역사적 정통 개혁신학의 바른 노선의 요점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RRdOOlTRyE&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20 역사적 정통 개혁신학의 바른 노선의 요점 김영규 목사 / 개혁주의성경연구소 (2015) 한국 보수주의 교회에서는 정통개혁주의신학에 대해서 강조해 왔으나, 실제로 정통신학의 계보에 대해서 잘 소개되지 않았다. 최근 퓨리탄에 대해서 어느 정도 소개되었어도 회중교회적인 퓨리탄들이 대부분이 소개되었고 진정 장로교 개혁주의신학자들은 많이 소개되지 않고 미미한 정도에 불과했고 더구나 칼빈 이후의 유럽개혁주의자들의 소개들은 극히 적었다. 이런 면에서 정통개혁주의신학을 주장하면서 진정 정통개혁주의신학을 잘..

오디오 칼럼 2023.10.18

개혁주의 유산으로서의 시편 찬송

개혁주의 유산으로서의 시편 찬송 J. Kortering / 번역: 칼빈아카데미 번역자 주: 최근 들어 한국 교회에는 ‘찬양과 경배’ 혹은 ‘열린 예배’라는 명분 하에,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온갖 악기를 동원하여 거의 오락에 가까운 노래를 찬송이라고 부르는 것이 마치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는 듯합니다. 이러한 때에 개혁파 교회 성도로서 우리는, 역사적 개혁파 교회가 가르쳐 나온 올바른 찬송, 곧 성경이 가르치는 찬송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제대로 배워서, 진정으로 하나님께서 기쁘게 받으시는 찬송으로서 하나님께 예배드려야 하겠습니다. 이제 1부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면서 한국 교계 앞에 공개적으로 비판문을 게재한 한 뜻있는 목사의 글도 살펴보았습니다. 2부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교회가 이해해야 ..

시편 찬송 2023.10.07

개혁신학의 정통성

개혁신학의 정통성 김향주 교수 서언 역사적 교회는 하나밖에 없는 자신들의 생명을 분토처럼 버리고 불신앙의 세력과 싸운 순교자들의 피를 씨앗으로 하여 신앙고백을 양산해 왔다. 그 신앙고백이 올바로 보수될 때에는 정통적 진리라는 이름표를 달고 지금까지 내려왔다. 순교의 피를 요구할 만큼 그토록 중요한 신앙고백의 내용은 무엇인가? 그 고백은 시대와 사람이 변할지라도 2천년 교회사가 변치 않고 주장해온 “주 예수 그리스도시오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 이라는 아주 단순한 고백에서 시작되는 문제였다. 그 내용은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셔서 “너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의 질문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단순하게 보이는 문제는 2천년동안 교회 자체의 역사뿐 아니라 이 신앙고백을 가진 교회가 세워지는 곳..

정통신앙의 기준에 대하여

대화 출처: https://open.kakao.com/o/g7UYmxQe 정통신앙의 기준에 대하여 기독교 (Sola) (2018년) 정통신앙의 기준이란 교회 역사적으로어느 특정인의 주관적인 신학적 입장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교회에서 공통적으로 고백했고 받아들여온 객관적 기준인 공교회의 신조(신앙고백) 및 교리들을 그대로 이어가는 신앙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가령, 신조들중 약 500년까지로 불리는 고대신조로는 초대교회부터 고백해온 사도신경과 삼위일체에 대해 짧게는 200년, 길게는 500년간의 회의 끝에 정립한 삼위일체에 대한 개념을 잘 정리한 신조들인 가령 아타나시우스 신조, 칼케돈 신조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1천년간의 교회 암흑기를 거쳐 종교개혁시대에 그것을 그대로 이은 프랑스 신앙고백서 ..

신앙 대화 2023.04.12

역사적 정통 개혁신학의 바른 노선의 요점 (오디오 지원)

'오디오 칼럼' 게시판에 다른 자료들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RRdOOlTRyE&list=PLJ9genfsSDz2xqEq2DVYk2CuhIeVzDOwv&index=20 역사적 정통 개혁신학의 바른 노선의 요점 김영규 목사 / 개혁주의성경연구소 (2015) 한국 보수주의 교회에서는 정통개혁주의신학에 대해서 강조해 왔으나, 실제로 정통신학의 계보에 대해서 잘 소개되지 않았다. 최근 퓨리탄에 대해서 어느 정도 소개되었어도 회중교회적인 퓨리탄들이 대부분이 소개되었고 진정 장로교 개혁주의신학자들은 많이 소개되지 않고 미미한 정도에 불과했고 더구나 칼빈 이후의 유럽개혁주의자들의 소개들은 극히 적었다. 이런 면에서 정통개혁주의신학을 주장하면서 진정 정통개혁주의신학을 잘..